한전, 현대저철, 전기공업조합 과정 협력
차세대 송전철탑 기술개발까지 협력 확대
국가기간망 전력 철탑 공급을 위한 속도가 붙는다.
한국전력(사장 김동철)에 따르면, 현대제철, 한국전기공업협동조합과 국가기간 전력망 건설에 필요한 철탑 기자재 공급을 위한 전주기 협력체계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한전은 24일 본사에서 현대제철 및 협동조합과 '국가기간 전력망 적기 건설 협약'을 체결했다.
업무협력 배경은 데이터센터 건립 확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구축 등 급증하는 송전망 건설 수요에 대비해 철탑 원자재 공급–제작–납품 간 밸류체인을 강화하고, 안정적인 전력망 건설을 가속화 하기 위한 것.
이번 협약을 통해 현대제철과 협동조합은 철탑 원자재 공급과 제작이 적기에 이뤄질 수 있게 협력하고, 한전은 미래에너지 수요를 기반으로 한 전력망 건설계획 등 관련 정보를 정기적으로 공유하게 된다.
세 기관은 차세대 송전철탑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AI와 반도체 등 첨단산업 발전에 따른 전력수요 증가와 재생에너지 연계 확대로 인해, 2038년까지 송전망 건설 물량은 약 4700㎞, 철탑 자재는 약 70만 톤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철탑 기자재는 전력망 건설을 위한 핵심 품목으로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이 필수적이다.
현대제철은 연 2400만 톤의 생산능력을 갖춘 국내 최대 철강사로, 협동조합은 국내 총 6개 철탑 제작사 포함 604개 회원사가 참여, 공급 안정망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한전은 협약을 계기로 현대제철 및 협동조합과 정례 협의체를 구성해 원자재 수급현황 점검, 제작·납품 일정 등을 종합 관리 강화된 협력체계를 운영할 계획이다.
김호곤 한전 송변전건설단장은 "국가기간 전력망 적기 건설은 에너지고속도로 구축의 핵심이고, 철탑 기자재의 적기 공급은 그 첫 단추"라며 "이번 협약으로 탄소중립과 친환경 에너지 전환에 기여하는 모범적인 산업협력 모델을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환경데일리 = 김정현 호남취재본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