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후유증, 신생아 죽고 아이 더 이상 낳지 않아

김영민 기자

news@ecoday.kr | 2017-01-31 12:00:51

후쿠시마 원전 교훈 사라지지 않았지만 국내는 정반대
'원전과 건강', 한일 국제심포지엄서 발언 주목해야
추혜선, 김경진 국회의원 주최 후쿠시마 피폭 6년
백혈병, 암, 방사능 피폭 끝나지 않는 재앙 이어져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원자력발전소의 대한 안전성은 100% 있을 수가 없다.

일본은 물론 전 세계 충격을 줬던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폭발이 있는지 만 5년이 지나고 있다.

그러나 폭발로 인한 후유증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최근 일본 보건진료소장이 국내에서 계속되는 불행은 임산부가 출산을 앞두고 갑작스럽게 아이가 죽거나, 혹은 태어난 다고 해도 희귀병으로 사망이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고 충격적인 발언이 나왔다.

지난달 국회에서 열린 한일 국제심포지움에서 이같이 밝혔다.

발언의 주인공은 후세 사치히코 후쿠시마 공동 진료소장이다. 그는 수년 동안 피폭주민들을 대상으로 진료를 해온 산증인이다.

그는 "2011년 핵사고 이후 주민들 상당수가 사전에 질환이 없었던 갑작스럽게 백혈병, 뇌출혈, 급성심근경색 등 난치병 환자가 늘었다."고 폭로했다.

후세 소장은 "이 지역 아이들에게 재앙은 피해가지 않았는데 무려 184명의 후쿠시마 아이들이 갑상선암을 앓고 있다."고 밝혔다.


2011년 동일본 쓰나미로 발생한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 이후 피폭 주민들의 건강상태가 매우 악화된 것은 극명하게 드러났다.

후세 소장은 심포지엄에 참석, 후쿠시마 의과대학이 발표한 '핵사고 후 증가한 질병' 자료를 전격 공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후쿠시마 전체 주민중 백내장 질환자는 원전 폭발전인 2010년 대비 2011년은 229%, 폐암은 172%, 뇌출혈은 253%, 식도암은 134%, 소장암은 277%, 대장암은 194%, 전립선암은 203% 상상 그 이상으로 폭발적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원전폭발이 일년 뒤인 2012년에는 뇌출혈은 2010년 대비 300%로 늘었고 소장암은 400% 증가해 그야말로 후쿠시마는 재앙의 땅으로 나타났다.

 
갑상선암은 어린 나이에는 잘 발병하지 않는다. 그러나 후쿠시마 일대 살던 청소년기 10살~24살 사이의 연령대에서 발생비율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방사능 피복 가능성을 가장 높다는 증거다.

2013년 말 기준 소아갑상선암, 소아갑상선암 의심환자는 74명, 그리고 3년 뒤 환자는 3배로 늘어난 184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후세 소장은 "후쿠시마 현에서 의무적으로 검사를 받은 30만 명의 18세 이하 아이들 중 68명의 경우 선행 검사에선 문제가 없었지만 시간이 흘러 발병을 확인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는 잠복기를 거쳐 피폭의 영향이 암으로 드러난 셈이다."고 강조했다. 


일본 사회에서 또 하나의 변화는 출산율 저하다. 2010년 대비 2012년 조산 및 저체중 출산은 166%까지 늘었다. 난치병 건수도 2011년을 기점으로 늘었다. 난치병 건수는 70만 건 수준에서 2011년 이후 100만 건 수준까지 증가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사산율 증가다. 도쿄나 사이타마 현의 경우 원전폭발 사고 이후 4%가량 사산율이 증가한 반면 방사능 오염도가 높은 후쿠시마현 주변은 사산율이 12.9% 늘었다. 후쿠시마 인근 6개 현에서는 유아 사망률도 증가했다.

이렇다보니 결혼 후 임신해야 할 가정들이 이를 기피해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후세 소장은 "결혼후 임신을 꺼려하는 것은 기형아 등 출산에 대한 두려움 때문인 것으로 이는 국가조차 해결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라며 "피폭의 범위는 후쿠시마를 넘어 일본 전체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화학유해물질을 취급하는 이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회귀병중 하나인 급성백혈병,  악성림프중 증가도 후쿠시마현 전체를 피해가지 못했다.

2010년 백혈병 사망자가 108명에서 핵사고 뒤인 2013년 230명으로 늘어 213%로 폭발적으로 늘어난것으로 확인됐다.

후쿠시마 인근의 군마현은 310%, 사이타마현은 285% 증가했다. 일본 평균 수치(142% 증가)에 비해 높다. 세슘137의 오염농도가 높을수록 발생하는 급성 심근경색의 경우도 전국적으로는 감소세지만 후쿠시마 현만 증가세를 보였다.

핵발전소 사고후 투입된 노동자는 건강상태도 크게 빗나가지 않았다. 이미 상당수의 넒은 면적 토양과 해양까지도 세슘 오염은 불가피한 상황까지 왔다는 증거다.

이들에게 집중적으로 백내장 수치도 뚜렷하게 증가해 산업재해 인정을 받은 사례도 나타난 것으로 드러났다.


후세 사치히코 소장은 "후쿠시마 지방정부는 진찰받지 않을 권리를 주장하며 검사를 축소 중단하려 하고 있다."며 "자율 검사로 바뀌면 주민들의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제대로 나올 수 없다."고 밝혔다.

또한 "후쿠시마현 당국은 피난지시를 해제해 고농도 오염지역으로 주민을 돌려보내려 하고 있고 더욱 심각한 것은 어린이도 포함돼 미래가 암울하다."고 말했다. 

그는 "지방 정부가 주택 보조 중단은 그야말로 가장 위협한 지역으로 내모는 꼴로 방사능 물질에 피폭당하도록 방치한 꼴로 비인도적인간 처사"라고 맹비난했다.

그린피스는 지난해 7월 21일 후쿠시마 해저 방사성 오염 사고 전보다 수 백배에 달하고, 육지 내 하천의 오염은 더 심각해서, 모든 생물체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고 이 오염된 상황에서 해저보다 최고 200배에 심각한 수준에 육박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아베 정부는 지금까지도 후쿠시마 원전 폭발사고 이후 방사능에 의한 건강피해는 없다며은폐와 축소만 되풀이하고 있다.

후세 사치히코 소장은 전 세계 최고 원전밀집국가인 우리나라에 대해, "핵 사고는 핵발전소가 많은 순서대로 스리마일(미국), 체르노빌(소련), 후쿠시마(일본)에서 발생했다. 다음은 한국이 될 것이란 우려가 많다."고 경고의 말도 잊지 않았다.

이 자리에는 서울대 보건대학원장인 백도명 교수는 한국의 '원전 주변 갑상선암 발생 분석'이라는 주제 발표도 주목을 끌었다.

백 교수는 "한국의 원전 주변에 갑상선암이 많이 발생하는 것은 정부와 한수원의 주장대로 초음파 검사를 많이 했기 때문이 아닌 발생률 자체가 높다."면서 이 사실을 뒷받침 자료를 제시했다.

반핵의사회 운영위원인 이홍주 박사는 후쿠시마 사고 당시 피난 과정에서 발생한 인명피해를 조사한 결과에서 소위 '지진 관련사'라고 일본 정부가 분류하는 이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정부가 어떤 대책을 준비해야하는지 논의했다.


한편 이번 심포지엄은 탈핵에너지전환국회의원모임, 김경진 의원, 추혜선 의원, 탈핵에너지교수모임, 탈핵법률가모임 해바라기, 반핵의사회가 공동주최했다.


[ⓒ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