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국제영화제 스크린 찢은 자 누구냐?
김영민 기자
sskyman@ecoday.kr | 2016-03-14 20:38:43
국내외 영화인 팬과 시민 등 집단 서명 행동 나서
문화예술 생명 '창의성' 패권관료주의로 난도질
문화로 융성한다던 부산시 스스로 뒷걸음질 주장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 부산지역문화의 융성을 바라는 문화예술인과 시민들이 급기야 낸 서명동참에 나섰다.
15일 부산 문화예술인들과 시민들이 연대하는 시민 일동으로 긴급 성명을 통해 이번 서명운동 배경에는 부산시 스스로 내건 문화융성의 구호를 스스로 먹칠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지난해부터 난항을 겪은 제20회를 맞이한 부산국제영화제를 자축의 축제조차 짠물을 꺼얹는 자승자박의 부끄러운 짓(?)을 저질러 빈축을 샀다.
바로 영화산업의 메카였던 창조의 산물인 부산국제영화제를 정치의 소용돌이 담아 흔들어놨기 때문이다. <본지 2016.3. 4 기사 참조, 부산국제영화제는 부산시 산하 기관아냐>
서병수 부산시장이 취임과 함께 부산시의 비전을 제시한 '사람과 기술, 문화로 융성하는 부산'이 한순간이 물거품이 됐다. 부산시민들은 물론 국내외 영화인들에게 실망이 절망감으로 낭떠러지에 서게 한 장본인이 됐다.
영화인들은 부산시가 지향하는 문화융성은 커녕 시간이 지날수록 문화예술에 대한 높은 기대치를 추락한 문화쇠퇴 혹은 지체라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에 처하게 됐다고 호소했다.
이들이 반기를 든 핵심은 부산문화재단 이사장 선임문제를 비롯, 낙하산식 코드 인사를 관철시켜 주요 문화예술기관의 관변인(人)화 시도다. 특히 정치적인 이유로 공공장소의 예술작품을 무단으로 철거하는 구시대적 검열행위도 자행했다. 이를 두고 영화인들은 패권관료주의에 찌든 이들이 권력에 무릎을 꿇다보니 문화예술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했다고 일축했다.
모든 문화예술의 생명은 '창의성', 이 창의성은 자율성에 근거하지 않으면 생성될 수 없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바로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지 않을 때, 문화융성을 기대하기 힘든 이유다. 문화예술의 융성의 뿌리는 자율성을 통해 창의성을 발휘할 여건 마련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부분이 악의적으로 소멸되거나 군사정권의 군홧발 정치와 비슷하게 회귀할 수 밖에 없다는 탄식의 목소리가 영화산업에 팽배하게 가라앉은 상태다.
부산국제영화제의 팬들은 "지원은 하되, 간섭은 하지 않는다"는 너무나 상식적인 팔길이 원칙이 세계적으로 문화정책의 기본으로 통용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공감대를 키우고 있다.
서 시장 체제에서 문화융성을 기치는 커녕, 영화인들과 부산 문화예술인, 영화제와 부산시민들이 대립하는양 문제의 본질을 호도하고 있다며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더욱 불쌍사나운 사실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할 부산시가 그동안 산하기관을 동원 근거 없는 여론 조장과 불필요한 지역갈등을 유발했다는 점이다.
이런 분노는 비단 부산국제영화제에만이 아니다.
부산 문화예술계 전반에 걸쳐 예술 표현의 자유, 문화행정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침해하는 부당한 압력과 개입이 확대되고 있는 현실에 대해 심각한 위기인식을 공유로 치닫고 있다.
결국 부산지역문화의 융성을 바라는 문화예술인과 시민들은 부산시의 부당한 개입에 공개 사과와 재발 방지선언을 요구하기로 나섰다.
이들은 ▲2014년 영화상영 중단 요청 ▲행정감사와 검찰고발 등을 포함 예술 표현의 자유 ▲영화제의 독립성과 자율성 침해에 공개적인 사과를 촉구했다.
한편 이번 요구사항들이 조속히 실행되지 않아 영화제가 파국으로 갈 경우 책임은 시에 있고 아울러 다양한 실천과 방법으로 부산 문화예술인들과 시민들이 연대하는 시민운동을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