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병완 의원, 광주 광(光)산업 빛 밝혔다

김정현 호남취재본부

| 2020-01-05 09:20:58

광산업진흥회·광기술원 광융합기술 진흥전담기관·연구소 지정
장병완 의원 대표발의 '광융합 진흥법' 따라 광산업기관 이뤄

[환경데일리 김정현 호남취재본부 기자]빛고을의 명성에 걸맞게 광주광역시가 광(光) 기술 광산업의 새로운 중심으로 우뚝 서게 됐다.

지난 2일 산업통상자원부는 광주의 한국광산업진흥회와 한국광기술원을 광융합기술 진흥 전담기관과 전문연구소로 각각 지정·고시했다.

광주 광산업진흥회는 광융합기술 진흥 전담기관으로서 광융합 기술 진흥을 위한 산학연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광융합산업 정책수립, 정보제공 및 인력양성 등 기업 지원 활동을 수행하게 된다.

한국광기술원은 광기술 개발의 기반 지원과 기술표준화 등 광융합산업 전문연구기관으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이번 지정을 통해 광주시의 주력산업인 자동차, 에너지산업 등이 광기술과 융복합해 미래신성장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정부 차원에서 광융합산업육성계획을 수립하도록 하는 등 광융합기술이 광주 지역산업을 넘어 국가주력산업으로 집중육성 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전담기관과 전문연구소 지정은 그동안 산업중소벤처위원장이던 장병완 의원이 제정·통과시킨 '광융합기술 개발 및 기반조성 지원에 관한 법률'의 후속조치로 이뤄졌다.

장병완 의원은 "단순기술집약산업에 머물던 광산업이 신(新)융합산업으로 한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됐다."며 "신재생에너지, 자동차, 광산업 등 4차 산업혁명시대 광주 미래성장동력이 착착 마련되고 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실제 광 기술은 사물인터넷용 스마트 센서,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위한 광학렌즈, 자율주행자동차의 라이다 기술, 초고속 통신을 통한 빅데이터 송·수신 등에 핵심기술이다.

따라서 국가 경쟁의 최대 중추적인 역할을 할 ICT융복합으로 상징되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다양한 기술의 매개 역할도 기대되고 있다.

장 의원은 "2019년도 광주 지역의 광산업 생산 규모는 약 2조 3005억 원에 이르고 광주 전체 경제의 약 4.5% 비중을 차지 한다."며 "이번 광융합산업 전담기관과 전문연구소 지정으로 광융합기술 개발과 진흥에 큰 기여해도 좋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 의원은 지난해 광주전남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지정에 이어 광융합기술 진흥 전담기관과 전문연구소 지정까지 제정·통과시킨 에너지융복합법이 광주시 미래성장동력이라는 결실로 돌아왔다.

또한 '호남예산지킴이'로서 광주 에너지신산업, 문화콘텐츠, 첨단기술산업, 전남 지역 기반시설개선 예산 등 광주·전남 20년도 예산을 대거 확보했다.

[ⓒ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