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인공지능, 로봇 기반 전력설비 점검기술 시연

최인배 / 2017-06-22 10:02:43
AI기반 배전설비 진단기술 안전 최우선 비접촉 작업공법 도입
자율비행 드론 설비 진단, Big-Data 기반 설비 자동분석기법

[환경데일리 최인배 기자]한국전력(사장 조환익)은 22일 나주혁신단지에서 정부, 산업, 노동계 등 200여명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자율비행 드론 설비 진단기술'과 'Big-Data 기반의 설비상태 자동분석기법'을 소개하고 작업자 안전을 최우선 하는 '전력선 비접촉식 활선작업 공법'에 대한 시연회를 한다.

자율비행드론 설비진단기술은 정부에서 주관하는 '2016년 시장창출형 로봇보급사업'에 참여한 사업으로 핵심기술인 로봇 및 광학기술을 접목, 차량진입이 어려운 산악지, 하천횡단개소 또는 지상에서 점검이 곤란한 전력설비 상부를 GPS 경로를 따라 자율비행하면서 점검하는 기술이다.

 

설비상태 자동분석기법은 세계 최초로 Big Data와 Machine-Learning 기술을 접목한 첨단 기술로 진단장비 일체를 차량에 탑재 손쉽게 전력설비를 진단할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고장점 을 찾아냄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최대 10배까지 절감할 수 있다.

현재 이 기술 에 대해 중동, 동남아에서 많은 관심을 보여 한전은 자체 활용 뿐만 아니라 공동개발에 참여한 중소기업과 함께 해외수출도 추진중이다.

또한, 전력설비를 유지보수 할 때 기존엔 작업자가 전기가 흐르는 특고압선을 직접 만지는 직접활선공법을 활용했으나, 지난해 6월부터 한전은 작업자 안전을 최우선 하는 비접촉식 간접활선공법으로의 정책 전환 및 관련 기술을 개발하게 됐다.

올 9월부터 전국 작업현장에 본격 도입할 계획이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감전 등 안전사고가 획기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날 시연회를 주관한 한전 박성철 영업본부장은 "정부 역점정책인 4차 산업혁명 구현에 있어 세계최고의 전력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한전이 앞으로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며, 특히 사람이 먼저인 안전한 작업환경을 만들기 위한 사회적 요구와 책임을 성실히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인배

최인배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