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건설업 대출 충당금 상향 유예
농협중앙회 대의원 조합장 292명 건의
올 하반기 7월부터 시중 은행권과 제2금융권은 비상이다. 부동산 대출금과 일반대출, 신용카드 대출까지 상환이나 이자조차 내지 못한 파산 신청을 늘어나고 있다.
중소기업 경영난으로 이어지면서 연쇄반응으로 소상공인 자영업까지 폐업을 목전에 두는 곳이 매월 10%씩 늘어나고 있다. 단위농협 조합장은 "최근 들어서 조합원과 일반 고객들이 상환 유예신청이나 채무일수가 전년 대비 5% 이상 증가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급기야 14일 상호금융업권은 금융위와의 간담회에서 이런 주제로 호소문을 냈다. 이날 부동산 및 건설업종 대출에 대한 대손충당금 상향 시기 유예를 공식 요청했다. 5대 상호금융 중앙회장이 연서를 통해 공동 건의와 농협중앙회 전국 대의원 조합장 292명의 건의문을 제출했다.
간담회에는 농협중앙회를 비롯해, 축협, 수협, 산림조합, 신협, 새마을금고 등 5대 상호금융 대표이사가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최근 급팽창하고 있는 연체율과 자본 적정성 등 건전성 관리 현황과 업계 충당금 상향 유예 건의에 대한 논의가 중점 이뤄졌다.
상호금융업권은 PF 부실 우려와 경기 침체로 인해 연체율이 최근 20년 내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결국 불통은 경영 여건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충당금 강화 제도가 연착륙되도록 올해 말로 예정된 충당금 130% 상향 적용 시기를 내년으로 유예해 줄 것을 건의했다.
참석한 관계자는 "내년 상반기에 내수경기에 분수령으로 잡고 있다."며 "제2의 금융파동이 우려되는 만큼 심각한 수준이라며 정부의 직접 상환유예 등 이자감면까지 다양한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전했다. [환경데일리 = 윤경환 선임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