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변형식품 실생활에 침투, 소비자 정보 조차 몰라
제초제 저항성 GMO작물 다량 제초제 살포된 내역 충격 [환경데일리 유혜리 기자]"국민을 기만하는 허울 좋은 GMO 표시제 확대를 규탄한다. 원료기반 GMO완전표시제 즉각 실시하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월 4일부터 새로운 GMO표시제의 확대를 시행한다. 그것은 지난 수년간 GMO표시를 확대하라는 국민들 요구의 결과이지만 새로운 GMO표시제가 시행되더라도 여전히 국민들은 시장이나 마트에서 GMO표시를 한 제품을 찾아 볼 수 없다.
![]() |
▲서울시 은평구 두레생협 매장 입구내 GMO위험성을 알리는 GMO완전표 시제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일반 시민들은 무의식적으로 GMO가 함유된 라면, 국수, 빵, 과자, 아이스크림, 식용유, 커피시럽 등을 구매해 섭취하고 있다. 식품당국은 모든 가공식품에 대해 소비자들이 쉽게 보고 판단해 구매 의사를 정하도록 완전표시제를 요구하고 있다. |
식약처는 GMO표시를 확대하라는 국민의 근본적인 요구를 외면하고 있다. 그동안 원재료의 함량을 기준으로 5순위 안에 유전자변형 농산물이 들어있지 않으면 GMO 표시를 하지 않았던 것에서 전체 식품으로 확대했다고 홍보하지만 실상 그것은 허울뿐인 확대이며 소비자인 국민들 입장에서는 조금도 개선되지 않았다.
새로운 기준은 식용 GMO의 경우 대부분 콩기름식용유와 카놀라유, 옥수수유, 면실유 등의 식용유를 모두 제외하고 있고 옥수수로 만들어진 액상 과당이 들어간 제품, 간장 또한 제외돼 국민의 입장에서는 GMO표시는 여전히 찾아 볼 수 없다. 식품을 만들 때 미량으로 들어가는 부형제, 안정제, 희석제에 대해서도 역시 GMO 여부를 따지지 않기로 했다.
식약처는 GMO표시제가 전면적으로 시행될 경우 Non-GMO 식품원료 사용으로 인한 원가 상승으로 국민에게 피해가 간다는 식품회사들의 터무니없는 주장에 놀아나고 있다. 식품의 안전을 지키는 식약처인지 식품회사의 안전을 지키는 식약처인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유전자변형 콩을 써서 식용유를 만들었으면 GMO 식용유라고 알려주는 것이 맞다. 국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돼야 한다. 가공 후에 DNA검출 여부를 따져서 표시하고 말고 할 문제가 아니다.
GMO작물은 DNA 검출여부라는 결과뿐만 아니라 작물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유전자 조작이 이뤄진 사실이 중요하다. 제초제 저항성 GMO작물이라면 다량의 제초제가 살포된 내역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 GMO 작물에 살포되는 제초제 글리포세이트는 2015년 발암물질 2A로 확정됐고 작물체내 여전히 남아 치명적인 위해가 되고 있다.
사람과 자연, 지역과 환경을 살리는데 노력하고 있는 두레생협연합회(회장 김혜정)는 유럽은 물론이고 GMO작물을 생산해서 세계로 수출하는 미국도 원료에 기반해서 GMO표시제를 시행한다. 우리나라는 식량자급률 23%밖에 되지 않으며 77%를 수입농산물에 의존하고 수입농산물의 80%는 GMO를 먹고 있는데 정작 국민들은 GMO표시를 찾아 볼 수 없으며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이 보고 있다고 거듭 주장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