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당 30명, 무소속 5명, 민주당 1명, 민생당 1명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유권자들은 정당이나 인물보단 우리 지역사회에 정말 필요한 인물인지, 공약 실천은 가능한지, 꼼꼼하게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환경정책이 둔하고 지역환경문제에 외면한 정치적인 공세만 펴는 후보는 주의 경계를 해야 한다.
선거는 유권자들의 특권이자 투표로 심판할 수 있는 유일한 창구이기 때문이다. 특이한 점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으로 활약했던 몇몇 의원도 포함됐다.
환경운동연합이 보도자료를 통해 21대 총선을 앞두고 반환경 후보 37명의 명단을 6일 발표했다.
눈길을 가는 부분은 4.15 총선에서 반환경후보의 정당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이번에 드러난 분포는 총 37명 중 미래통합당 26명 우리공화당 2명, 미래한국당 1명, 더불어민주당 1명, 민생당 1명, 무소속 6명으로 나타났다.
21대 총선 반환경 후보 선정은 ▲20대 국회 반환경 의원(2019. 12. 13), ▲20대 총선 낙천 인사(2016. 3. 9), ▲19대 국회 반환경의원 선정 명단 발표자료(2016. 2. 23), ▲4대강 사업 찬동인사 인명사전(2011. 9. 19) 등을 기준으로 선정했다.
에너지 분야 반환경 후보는 총 에너지 분야 반환경 후보는 총 13명(타 분야 중복 포함)이다. 그 중 이채익 미래통합당(울산 남구갑)후보는 문재인 정부의 졸속 원전정책 진상규명 및 대책마련 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면서 탈원전 정책 폐기를 주장했다.
이채익 후보는 20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강원도 산불은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며 '기승전 탈원전 탓'논리의 가짜뉴스를 유포한 바 있다. 또,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 특별위원회 공동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신한울 3.4호기 공사 재개를 공론화하기도 했다.
물순환 분야 반환경 후보는 총 25명(타 분야 중복 포함)이며, 부로 4대강사업에 대한 왜곡된 주장 및 복원에 반대하고 있다.
정진석 미래통합당(충남도 공주시부여군청양군) 후보는 자유한국당 4대강 보파괴저지 특위원장을 맡아서 4대강 자연성 회복을 막기 위해 하천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하는 등 전방위적인 활동에 앞장서왔다.
국토 분야 반환경 후보는 총 2명(타 분야 중복 포함)이다, 그 중 김동철 민생당 (광주광역시 광산구갑) 후보는 20대 국회 환노위 위원으로 활동할 당시 설악산 케이블카 관련 환경정책평가원의 협의의견 및 환경부의 환경영향평가의 부동의 결정에 대한 번복을 요구하며 '적어도 환경부가 환경만 생각하지 말고, 그렇지 않아도 지금 경제가 어렵다고 난리' 등 환노위 위원으로서 부적절한 발언을 한 것이 지적됐다.
반환경으로 일관한 후보를 검증한 이번 발표에 관련, 최준호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은 "21대 국회가 또다시 탈원전, 4대강 등 환경 현안을 정쟁화하고, 지역 개발사업에 몰두하는 상황이 매우 우려된다."며"국회가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국토 보전에 앞장설 수 있도록 시민들의 현명한 판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