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조종사 4차 산업혁명 블루오션

윤동혁 / 2017-03-22 12:16:43
국토부, 연 1700명 드론 조종인력 양성체계 구축
2013년 64명 배출, 2017년 1536명으로 100배
교육 이수과정, 올 12월 교육포털도 개선 예정

 
[환경데일리 윤동혁 기자]국내 모든 산업 분야에서 적용될 드론을 활용할 인재를 정부 차원에서 양성하게 됐다.

전국 주요 권역 어디에서나 드론 전문교육기관을 통한 조종 자격 취득을 위한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된다.


국토교통부는 3월 9일 전남, 부산 지역에 이어 22일 서울, 강원 지역에 드론 전문교육기관 4개를 추가(7→11개) 지정한다.


교통안전공단 시험처에 따르면 드론 조종자격 취득자 수는 빠르게 늘어나고 있으나 수도권 내 기관에서 자격을 취득한 자의 대부분이 비수도권 거주자(73.5%, ‘16년)로 지방의 교육수요에 비해 교육기관 부족으로 자격 취득 시 불편함이 있었다.


2013년 처음으로 64명을 배출했고 2014년 688명, 2015년 897명, 2016년 1351명, 2017년 1536명으로 100배 이상 늘었다.

 
국토부는 지난해부터 규제혁신을 통해 조종교관의 필수 경력요건을 완화(2016. 10.)하고 교육기관 지정을 희망하는 기관이나 업체에 사전 컨설팅을 제공하는 등 교육기관 설립을 지원해왔다.  

지금까지 비행시간(지도조종자 200시간, 실기평가조종자 300시간)에서 앞으로 기존비행시간 50%로 축소 + 교관 교육과정 이수을 하면 된다.


이번 전문교육기관 확대 등으로 연간 교육수용 가능인원은 994명(2016년)에서 약 1700명(2017. 3.)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올 12월에 교육포털도 개선될 예정이다. 조종자격 취득 희망자는 새로운 교육포털을 통해 ▲국내 모든 전문교육기관의 교육과정 ▲교육기관에서 이수한 교육이력 및 증빙자료 ▲자격증명 취득방법 ▲전문교육기관 지정 절차·방법 ▲교육기관용 표준교재 등 유익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게 된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드론에 대한 활용 증가와 함께 교육수요도 높아지고 있다. 이번 교육기관 추가 지정을 통해 국민들의 자격 취득 시 겪는 불편함이 다소 해소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보다 많은 거점 지역에 역량 있는 교육기관들을 지정함으로써 드론 조종인력 양성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윤동혁

윤동혁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