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주권 철저한 분업화로 전문성 대폭 강화

김영민 기자 / 2021-01-04 09:04:48
제1차 생물자원관 기본계획(2021~2025년) 수립
권역별 생물자원관 역할‧운영체계 정립 보전‧관리
환경현안 해결 등 위한 국가 생물자원 활용 확대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국가 중대한 미래 자원이 되는 생물자원 시스템을 강화해 생물주권 확보‧탄소중립 이행 나선다
 
환경부는 국내 생물자원관의 중장기 추진전략을 담은 '제1차 생물자원관 기본계획(2021~25년)'을 수립해 올 1월부터 시행한다.
 

환경부는 2007년 국립생물자원관을 시작으로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2015년, 경북 상주),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2020년)을 건립했으며, 각 자원관은 소관 분야의 생물자원의 발굴‧보전‧관리‧활용 업무를 활발히 추진 중이다.

먼저 국립생물자원관은 국가 생물자원 업무를 총괄하고, 낙동강자원관은 담수생물을 맡고, 호남권자원관은 도서‧연안생물을 책임지게 된다.

이번 제1차 기본계획은 '생물자원관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른 것으로, 호남권 생물자원관 건립(전남 목포 소재) 이후 생물자원관 간 역할을 정립하고 자원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협력방안을 모색한다.

또한, 기존 생물자원관이 수행해온 생물주권 확보를 위한 생물종 조사‧발굴 사업을 넘어, 생물자원을 활용한 탄소중립 이행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바이오 신산업 육성 등 생물자원 활용을 촉진한다.

환경부가 밝힌 제1차 기본계획 내용은 생물자원을 전략적으로 조사‧발굴(미발굴생물, 미탐사지역 중심)해 생물주권의 지표가 되는 국가생물종목록을 확대 구축한다.

국립생물자원관이 확보한 국가생물종목록은 올해 5만6288종을 목표로 하고 있다. 2년 뒤인 2023년에는 5만9679종을, 2025년에는 6만2600종으로 정했다.

특히, 수요자 맞춤형 생물자원 서비스를 한층 강화한다. 권역별로 나눠진 다양한 생물자원목록에 대해 손쉽게 접근하고 누구든지 볼수 있도록 은행형태로 소재, 데이터 등의 제공 기반을 마련한다.

 
권역별 특화된 소재은행은 인천시에는 야생생물소재은행, 낙동강에는 담수생물자원은행을, 호남권에는 도서‧연안 천연물은행을 각각 운영하게 된다.

또한, 정부기관이 보유 중인 생물다양성 정보를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KBR)'에 연계해 대국민 데이터 서비스를 확대‧제공한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야생생물을 활용해 바이오 신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생물소재 클러스터(2020~22년)', '담수생물 사업화연계기술개발(R&BD) 센터(2021~2023년)'를 조성해 기업의 자생생물 활용 사업화‧제품화를 위한 지원 기반시설을 마련한다.

탄소중립 등 환경현안 해결에 생물자원을 활용해 생물자원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다. 야생생물 활용 탄소저감 기술(메탄발생 저감 유용미생물 등) 확보, 환경현안 해결(난분해성 플라스틱)을 위한 기술 및 소재 개발을 추진한다.

올해부터는 생물다양성 주류화를 위한 대국민 서비스를 확대 제공한다. 생물다양성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가상‧증강현실(VR‧AR) 등 최신 기술을 적용한 체험형 생물자원 전시관을 조성한다.

또 생물다양성 관련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콘텐츠 개발해 코로나19 등의 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연령대가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박연재 환경부 자연보전정책관은 "생물자원은 현 세대 뿐 아니라 미래 세대도 함께 향유해야 할 소중한 자산으로, 이번에 마련한 제1차 기본계획을 기반으로 생물주권을 공고히 하고, 다양한 활용연구를 통해 탄소중립 실현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영민 기자

김영민 기자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