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중점관리지역 이외 첫 의심 신고 접수
축산전문가 "막을 방법 하나, 축산 혁신뿐"
'탈육식' 범정부차원 축산 정책 개편 필요
▲동물해방물결 제공 |
[환경데일리 이은주 기자]국내 돼지축산농가가 밀집된 충청남도 홍성군 도축창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가능성이 높다는 신고로 우선적으로 돼지 19마리를 폐사 시켰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파주시에서 상륙하면서 양돈농가는 전전긍긍하면서 사실상 경기도를 벗어난 충남 강원, 호남지역으로 확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발병한 지 정확하게 12일째인 29일 파주, 인천 강화, 연천을 넘어 중점관리지역 밖으로 확산돼 양돈농가에 초비상이 걸렸다.
긴급하게 폐사조치한 홍성군 한 도축장은 도축 대기를 위해 계류장에 있던 돼지 19마리인 것으로 확인됐다.
농식품부, 홍성군 등 방역 당국은 현재 초동방역팀이 반경 3km 내 소독 등 긴급 방역 작업을 펼치고 있다. 이와 함께 죽은 돼지에서 시료를 채취해 농림축산검역본부로 보낸 상태다. 최종 검사결과는 오늘 7시쯤 나올 예정이다.
홍성군은 국내 최대 사육돼지 단지가 있다. 양돈협회 자료에 따르면, 전국 총 1130여만 마리가 집단 사육되고 있는데 이 가운데 충남권은 총 230만여 마리를 키우고 있다.
파주를 시작으로 12일째인 지금까지 확진된 아프리카돼지열병은 모두 9건이다.
▲돼지농가는 새끼때부터 다양한 방법으로 대량 생산을 목적으로 고통을 주고 있다. |
이와 관련, 축산전문가들은 "갈수록 양돈농가의 운영이 어려운 것은 항생제 남용, 자연방목 형태의 돈사 환경이 없는 집단사육으로 돼지고기 수요가 늘다보니 대량 공급이 악순환으로 전염병을 고립시킬 수 있는데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실적으로 양돈농가는 물론 가금류에 이르기 까지 수급조절이 가능한 축산정책을 전반적으로 다루지 않으면 백신이 없는 상황에서 축산산업이 붕괴되는 것은 시한폭탄을 품고 있는 것과 같다."고 지적했다.
이미 동물보호단체 동물해방물결은 '탈육식'을 지향하며 동식물과 공존하는 인간사회가 점점 경제논리에만 허덕이다보니, 환경파괴, 생명경시 풍토가 되고 있다고 자연으로 되돌리는 친환경 축산농가가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지역별 축산농가수 거리제한과 함께 사육 마리수를 조절하는 등 축산농가 환경시스템을 손 보지 않으면 3대 악재인 조류독감, 구제역과 함께 돼지열병으로 초토화와 함께 인간까지도 위협받을 수 밖에 없다고 정책수정을 주문해왔다.
![]() |
▲자연친화적인 농축산, 수산업이 붕괴되면서 바다 강 하천의 생태계가 무너져 결국 인간의 위치 까지 위협하는 악순환이 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