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덕 사회단체장 신규 핵발전소 예정지 건설 중단 촉구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오늘(7일) 이희진 영덕군수와 영덕군 기관, 사회단체장 등은 영덕군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그동안 영덕군이 영덕 핵발전소와 관련해서 진행해 오던 모든 업무를 중단할 것을 선언했다.
이 선언에서 영덕군수와 영덕 사회단체장들은 ▲신규 핵발전소 예정지에 대한 지질조사 실시 ▲지질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핵발전소 건설 중단 촉구 ▲양산단층 지질조사 공개를 촉구했다. 또한 이들 요구 사항을 정부에 건의하는 것과 함께 모든 핵발전소 관련 업무를 중단할 것을 선언했다.
오늘 선언은 지난 10월, 영덕발전소통위원회가 군수에게 건의한 내용을 거의 그대로 수용한 것으로 정부의 영덕 핵발전소 건설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해 에너지정의행동은 성명을 통해 먼저 우리는 오늘 영덕군수의 기자회견에 환영의 뜻을 전한다고 밝혔다.
영덕군수는 작년 영덕주민들의 핵발전소 찬반주민투표 요구에 대해서도 '국가사무'란 이유로 거부했고, 주민들의 자발적인 주민투표가 진행되던 와중에는 '주민투표는 불법'이라며 동참과 지원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9월 경주에서 일어난 지진 이후 핵발전소 건설반대 여론이 영덕에 광범위하게 확산되자 이제 더 이상 기존 입장을 고수하지 못하고 입장을 선회한 것.
성명서에서 그간 우리는 영덕 핵발전소는 안전성, 지역형평성에서 적절치 못하며 부지선정과정 역시 기본적인 민주성조차 갖추지 못했다고 지적해 왔다. 뒤늦게나마 영덕군수가 핵발전소 건설의 문제점을 인식하게 된 점은 정말 다행한 일이다고 말했다.
특히 "이제 필요한 것은 정부의 화답이다."이라며 "핵발전 위주의 전력 정책은 이제 중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그것은 노후 핵발전소 폐쇄, 신규 핵발전소 건설 중단부터 시작돼야 한다. 영덕 핵발전소 건설 문제가 중요한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고 호소했다.
이미 시민사회에서는 '잘가라 핵발전소 100만 서명운동'을 비롯해서 전국적으로 핵발전소 반대 운동이 벌이고 있다.
에너지정의행동은 이번 영덕군수의 입장 변화는 단지 한 지역 지자체장의 입장 변화로 그치지 않을 것으로 정부가 핵발전 정책으로 더 큰 저항에 직면하기 전에 이제 스스로 핵발전정책을 폐기하는 일에 나서야 한다고 기존 반대입장을 재확인했다.
한편, 녹색당, 녹색연합, 환경운동연합, 환경정의 등 환경시민단체들도 영덕군 핵발전소 건설은 근본적으로 세워서는 안되는 지역으로, 사회적인 갈등만 초래하는 등 막대한 피해만 줬다고 영덕군의 현명한 조치에 환경한다고 밝혔다.
또한, 삼척 등지 신규 핵발전소 건설에서 차질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