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대응과 ESG 정보 공개·공시 개선 논의
환경부 환경정보 공개제도와 금융위 공시제도안
송옥주 "한국형 ESG 공개·공시 제도 모범 기대"
국회 환노위,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주관
![]() |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환경경영과 기업의 투명성, 사회적 가치를 추진하는데 미온적이고 투명성과 동시 폐쇄성을 함께 가지고 있었다.
제조산업 강국인 우리나라 입장에서 기후위기시대에 걸맞는 적극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필수조건인 ESG 관련 정보공개와 공시 제도에 대한 확대가 절실했다.
환경부는 지금까지 ESG 경영, 정보공개, 공시 개선안에 소극적으로 기업에 의존하거나 맡기는 형태로 흘러왔다.
이제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국내에서는 한국판 그린뉴딜 성공을 위해서는 중요한 디딤돌 역할이 ESG 경영으로 주목받기 때문이다. 해외 역시 보다 적극적이고 투명성을 겸비한 친환경 경영, 사회적 가치 부여, 경영 지배구조까지 오픈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국회 환노위 송옥주 위원장(경기 화성갑)과 환경부가 공동주최하고 한국환경산업기술원(KEITI)이 주관하는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ESG 정보 공개‧공시 개선방안 토론회'가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개최된다.
이번 토론회는 ESG 정보 공개‧공시 관련 현황과 규제를 분석하고, ESG 정보 공개 확대방안과 개선책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04년, ESG 개념이 처음 언급된 이후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 등 비재무적 정보에 대한 공개‧공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투자 의사 결정에 반영하는 책임 투자가 강조되고 있다. 2021년부터 파리협약이 적용되고 주요 당사국 등이 탄소중립을 선언하며 전 세계적으로 녹색 금융 이슈가 확대되고 있다.
해외 정서와 달리 우리나라는 아직도 ESG 정보를 공개하는 기업이 일부에 한정돼 그들만의 리그로 폐쇄적으로 일부 공개되는 형태다. ESG 정보의 공개‧공시와 관련해 규제가 중복되고 공개 방법도 표준화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번 토론회 목적도 이 부분에 대한 개선안과 향후 제도보완 등을 폭 넓게 논의하는 자리다. 특히 환경부의 환경정보 공개제도와 금융위 공시제도의 개선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시너지 효과 창출 방안으로 효율적인 ESG 정보의 공개‧공시 기틀을 마련하는데 기대를 모으고 있다.
토론회는 송옥주 환노위원장과 환경부 한정애 장관을 비롯해 안호영 환노위 간사, 임종성 의원, 이수진(비례) 의원, KEITI 유제철 원장 등 참석한다.
토론 좌장은 연세대 환경금융대학원 현석 교수를 중심으로, 발제로는 ▲환경부 이정용 녹색산업혁신과장 '환경정보 공개제도' ▲금융위원회 박재훈 공정시장과장 '지속가능경영보고서와 기업지배구조보고서 공시제도'를 주제 발표한다.
종합토론 패널로는 KEITI 김경호 이사, 한국거래소 강지호 팀장,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이종오 사무국장,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오덕교 연구위원이 참여한다.
송옥주 위원장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ESG 경영은 필수 불가결"이라며, "미국과 EU 등 전 세계적으로 불고 있는 ESG 흐름에 발맞추면서도 기업의 부담은 경감할 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한국형 ESG 정보 공개‧공시제도가 국제적인 모범사례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해 사전에 신청한 발표자, 토론자와 관계자 외에는 출입이 불가능하며 최소한의 출입 인원에 대해서는 발열 점검과 좌석 간격 유지, 신체 접촉 최소화 등 방역관리를 철저히 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