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PCO 한전, DC 시대 앞당기기 발전 포럼
36TWh 사용량 5.8조원 절감, 1GW 5개 대체
제주도 연간 전력사용량(6TWh) 6배 확보 효과
DC 실증 에너지효율 향상 직류배전 모델 제시
국내 기술기준 제개정 및 산업계 직류화 확대
[환경데일리 장수익 제주취재본부 기자]직류배전 공급시 국가적 편익은 수치상으로 정확하게 나오고 있다.
1GW 발전기 5개 대체, 제주도 연간 전력사용량(6TWh)의 6배 확보 효과가 있다.
한전 경우 송전용량 증대와 배전선로 손실 감소로 연간 1조500억 원을 절감할 수 있다. 고객사는 연간 36TWh 소비전력 6.6%(23년 기준)으로 전기 사용량을 5조8000억 원을 아낄 수 있다.
제조사는 부품감소(TV 경우 50~60개)와 회로기판(PCB) 축소(20∼40%)로 4000억 원을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처럼 KEPCO 한국전력(대표이사 사장 김동철)은 4일, 한전 아트센터에서 김동철 사장, 장길수 고려대 교수 등 80여 명을 대상으로 '직류(DC)배전 발전포럼'에서 효과 배경을 설명했다.

이 자리에는 김동철 한전 사장, 이준호 안전&영업배전부사장, 김태균 기술혁신본부장, 장길수 고려대 교수, 서장철 LS일렉트릭 상무, 이찬주 HD현대일렉트릭 상무, 이방욱 한양대 교수, 한영성 효성중공업 상무, 오승열 박사(KETI) 등이 참석했다.
이날 포럼은 ▲한전의 MVDC/LVDC 추진현황 ▲MVDC 개발 동향 및 DC 산업 편익 ▲LVDC 실증사례 소개 ▲에너지 전환 직류배전 솔루션 ▲국내외 직류 배전망 기술 표준·정책·제도 고찰 ▲직류배전 경제성 분석 및 기대효과 등 총 6개의 주제 발표가 있었다.
한전은 교류 대비 에너지 효율이 10% 이상 향상된 도서지역 DC독립섬 구축(‘17~’19) 결과와 다양한 직류배전 사업모델을 제시했다.

효성중공업, HD현대일렉트릭, LS일렉트릭 등 주요 참여기업은 MVDC 개발동향, 현대 글로벌R&D센터 DC 상업운전 결과, DC 배전 솔루션 사례를 각각 발표했다.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은 6대 가전제품(세탁기, 공기청정기, 에어컨, TV, 건조기, 냉장고)의 소비전력을 비교분석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력공급 방식에 따른 국가 편익을 산정 내용처럼 발표했다.
장길수 교수가 진행한 토론은 직류배전 확산을 위한 주요 이슈와 해결방안에 대한 심도깊은 논의가 이뤄졌다.
토론 참석자들은 전력산업 환경변화에 따른 직류배전 필요성에 공감하며 한전이 제시한 직류배전 사업모델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김동철 사장은 "직류시대를 본격적으로 열기 위해, 한전은 관련 업계와 'DC 얼라이언스'를 출범해 기술개발, DC요금제, 국제 표준 등에 공동 대응하고 정부와 산학연이 지속 협력할 수 있는 체계 구축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며 "새로운 국가 성장동력을 만들 수 있도록 모두 함께 최선을 다하자"고 역설했다.
앞으로 한전은 교류(AC)에서 직류(DC)로 대체하는 MVDC/LVDC의 기술 상용화에 박차를 가해, 미래전력 공급방식의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전력소비 효율화로 에너지 절감에 기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국내 에너지 산업계의 신성장 동력 창출을 촉발할 계획이다.
DC사업은 AC승압사업에 비견되는 사업으로서 1GW 발전기 5개 대체와 에너지 효율을 10% 개선해 '제2의 전력망 혁신'이 될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전력수요 증가에 대비해 ‘70년대부터 32년간 추진, 450MW급 발전소 1기 대체 효과를 예측하고 있다.
한전은 3~5일까지 코엑스에서 개최중인 스마트 그리드 엑스포에서도 'DC 특별존' 운영해 DC의 역사, 미래DC Town, 한전의 DC 사업모델과 추진계획을 소개하는 등 DC에 대한 국민 이해도 향상을 위해 적극 홍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