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동작 공동 자원순환센터 건립 현대화 착수

이수진 / 2018-12-21 07:58:36
관악·동작·주민대책위 3자간 건립 추진 기본 협약
30년 해묵은 갈등 민관 협치로 해결 모범적 사례
연면적 45,000㎡ 사업비 1400억 원 소요 추정

[환경데일리 이수진 기자]쾌적한 도시를 건설하는데 앞장 서온 서울시 관악구(구청장 박준희)가 쓰레기 문제로 30년간의 갈등을 해소하는데 적극 협의를 했다.

지난 18일 동작구 및 동작구 주민대책위원회와 (가칭)관악・동작 공동 자원순환센터 건립을 위한 기본 협약을 체결했다.

현재 보라매 인근에 관악클린센터로 운영되고 있는 쓰레기 집하장을 현대화 시설로 변화시켜, 그동안 주민들의 소음·악취로 얽혀 있는 불편을 해결 할 수 있게 됐다.


관악클린센터는 1990년 남현동에서 현재 위치로 이전되어 30년 가까이 된 낡은 시설로서 2014년부터 동작구 주민대책위원회에서 지속적으로 이전을 요구해왔다.
 

박준희 관악구청장은 지난 9월 대체부지 확보와 재정문제로 진행되지 못한 현대화 시설 건립에 대해 보라매공원 지하로 시설 건립을 제안해왔다.

동작구도 이를 수용, 동작구 주민대책위원회와 협약식을 체결해 양 기관의 오랜 숙원사업을 민관 협약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됐다.

기본 협약서는 ▲정부 및 서울시에 기술・재정적 지원 요청 등 공동 대응 ▲각 기관은 공동자원순환센터 건립 자체 재원 확보 ▲동작구는 입지 자치구로 대표성 ▲관악구는 직송체계의 단계적 추진과 지속적인 환경개선사업을 실행하기로 했다.

관악 · 동작 공동 자원순환센터의 시설규모는 연면적 45,000㎡(지하3층)에 사업비로 대략 1400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하고, 향후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을 수립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한편, 구는 폐기물종합처리장 건립 기금으로 2019년도에 55억 원을 확보하고 2023년까지 200억 원을 조성할 예정이다.

박준희 관악구청장은 "이번 협약은 지방분권시대의 룰모델로 민관 협치와 상생으로 자치구간 숙원사업을 해결하는 좋은 사례"라며, "민선 7기 구정운영의 핵심가치인 ‘포용과 협치’를 통해 더불어 살기 좋은 관악 만들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수진

이수진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