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목적용수 저류시설 추진으로 상습적인 가뭄 장기해법 모색
제한급수 임박, 덕동댐 준설, 노후관로 교체 담수능력 제고
물 부족 물 절약 생활화, 돈 쓰듯 물 아껴써야 시대 아냐
[환경데일리 이수진 기자]전국적으로 물부족으로 가뭄이 심각한 수준으로 치닫고 있다.
경북 지역은 더 심각하다. 대표적으로 경주시가 지난해부터 지속되는 극심한 가뭄으로 용수공급에 비상이 걸렸다. 주요 저수지 저수율이 50% 이하로 떨어지면서 향후 농업용수뿐 아니라 생활용수 공급까지 차질이 우려되자, 최악의 가뭄 상황을 대비해 가용가능한 모든 수자원, 인력, 장비, 예산 등을 총동원하며 전방위적인 가뭄대책 마련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경주지역의 지난해 누적강수량은 617mm로 평년 1,159mm로 53.3%에 불과하고, 평균 저수율은 49.8%로 평년 81.8%에 비해 극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는 전국 및 경북지역 평균 저수율인 71%에도 훨씬 못 미치는 수치다. 기상청은 경주지역을 저수율이 낮은 울주, 밀양과 함께 농업용수 가뭄 주의단계로 예고하고 오는 4월까지는 가뭄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주요저수지의 저수율은 지역 평균인 49.8%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현재 덕동댐 40.1%, 보문지 38.1%, 안강 하곡지 44.4%, 서면 심곡지 32.7%, 건천 송선지 47.6%, 내남 박달지 40.1%, 천북 성지지 37.0%, 현곡 남사지 43.2% 등 주요저수지의 저수율은 심각한 수준이다.
이에 시는 겨울가뭄 지속에 따라 자연적인 저수율 확보가 어려울 것으로 보고, 올초부터 예비비를 긴급 투입하여 가용 수자원을 활용한 저수지 물채우기, 담수능력 향상을 위한 준설, 보조시설 확충 및 취수원 개발 등 용수 확보에 전력투구하고 있다.
최양식 경주시장은 "가뭄은 풍수해와 달리 사전대책이 있으면 얼마든지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재해"라며, "반복되는 극심한 가뭄으로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고 있지만, 다양한 해법을 모색해 시민들의 생활에 불편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경주시는 지난해에 이어 겨울가뭄이 계속되자 영농철을 앞둔 농민들의 시름을 덜어주고자 농업용수 확보를 위한 저수지 물채우기 사업인 일명 '80작전'에 돌입했다. ‘80작전’은 경주지역 441개소 저수지 중 1만톤 규모 이상 48개소를 대상으로 4월까지 저수율을 80%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양수장, 암반관정 등 보조수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하천수 다단양수, 송수관로 연장 등 가용 가능한 수자원과 인력, 장비 및 예산 등을 총동원하고 있다. 현재 외동 토상지, 연지, 순지와 산내 거산지 등 4개소는 이미 물 가두기를 마쳤다. 이와 함께 유효저수량 확보를 위한 저수지 준설을 병행한다. 황남 상염불지를 비롯한 11개소는 사전 준설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저수지별 특성에 맞는 다양한 수원 발굴에 역점을 두고 있다.
한편 '80작전'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대규모 저수지 준설과 용수공급이 어려운 상습가뭄지역의 보조수원 개발이 시급하다. 이와 관련 경주시의 가뭄대책에 주목하고 있는 중앙부처와 경상북도에 지역 가뭄의 심각성을 전달하고 보조수원 개발에 필요한 사업비 확보를 위해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한국농어촌공사 경주지사도 경주시의 가뭄대책에 발맞춰 남사지, 심곡지, 내태지, 성지지, 품산지, 석계지 등 대형저수지 보조수원을 풀가동하며 담수량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가장 넓은 지역에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보문 저수지는 경주시 맑은물사업본부에서 방류되는 하천수 일 5만㎡을 펌핑할 계획으로 시설 확장과 관계기관 협의 및 예산확보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가뭄 예방을 위해서는 많은 양의 물을 확보하는 것만큼이나 보유한 물을 아끼는 것이 중요하다며 물 보유 상황을 시민에게 적극적으로 알리고 물의 가치에 대한 인식 제고를 끌어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농업용수 확보는 많은 시간과 예산이 뒷받침돼야 하지만, 생활용수는 시민들의 생활습관 변화만으로도 많은 양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는 향후 단계별 비상상황에 대비한 급수대책 추진상황을 비롯해 욕실, 세탁기, 주방 등 일상생활 속에서 물을 절약할 수 있는 내용을 담은 '가뭄 극복을 위한 물 절약 실천요령'절수캠페인 홍보물을 시민들에게 배포하는 등 물 절약 운동을 시민들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자발적인 동참을 유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