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소 중 1개소 광주시 밀집, 과밀화 해소 대책 필요
소병훈 의원 "계획적 새로운 물류기본계획 필요" 밝혀
[환경데일리 윤경환 기자]초대형 물류센터가 경기도에 집중되면서 사회적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병훈 더불어민주당 의원(경기 광주시갑)이 국토교통부 및 경기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의 물류단지의 52%(신청 접수 포함)가 경기도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기도 내 물류단지 중 34.6%가 광주시에 밀집돼 과밀화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 |
▲소병훈 더불어민주당 의원 |
2018년 9월 기준 전국에 인허가가 완료된 물류단지는 31개소로, 그 중에서 41.9%인 13개소가 경기도에 위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를 제외하면 울산과 전북 3개소, 대전ㆍ충북ㆍ경남이 각각 2개소, 서울ㆍ부산ㆍ인천ㆍ강원ㆍ충남ㆍ경북이 각각 1개소 물류단지가 인허가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인허가 완료는 안 됐지만 신청이 접수된 물류단지는 전국 19개소였고, 그 중 68.4%에 해당하는 13개소가 경기도에 개발을 준비하고 있다. 충남 2개소, 세종ㆍ전북ㆍ경북ㆍ경남에는 각각 1개소의 물류단지 개발사업 신청이 접수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국토부 실수요 검증을 통과한 물류단지는 경기 11개소, 충남 1개소, 전북ㆍ경북ㆍ경남 각각 1개소로 총 15개소였다.
전국 물류단지가 경기도에 집중되는 것처럼, 경기도 내에서도 물류단지가 특정 기초단체에 집중되고 있다. 경기도 내 인허가가 완료된 13개소 중 광주에만 4개가 위치하고 있다. 아울러 현재 사업이 신청된 물류단지 13개소 중에서는 5개소가 광주에서 사업을 추진 중인 것으로 밝혀졌고, 5개소 중 4개소는 이미 국토부 실수요 검증을 통과한 상황이다.
▲경기도 고양시는 경기도 100만명의 거주민이 넘는 3대 도시다. 최근 물류센터 건립 에 뒤늦게 반기를 들고 집단행동을 할 것으로 알려졌다. |
소 의원은 "총량제 폐지 여부와 상관없이 경기도는 물류산업의 비전과 목표를 정립하고 계획적인 물류산업 육성을 위해 새로운 물류기본계획을 수립 시행할 필요가 있다."며 "국회 차원에서도 국토부 실수요 검증 과정에서 시도뿐만 아니라 기초단체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하겠다."고 계획을 밝혔다.
105만 고양시도 예외가 아니다. 최근 초대형물류센터 건립에 따른 후푹풍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