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려했던 전국 환경관련 시험실 이상무

최인배 / 2016-02-02 22:58:13
전국 환경 시험실 98.5%, 오염도 시험 검사 능력 적합
273곳 중 265곳(97.1%) 시험실 운영능력 평가서 적합

[환경데일리 최인배 기자] 국립환경과학원이 국가 환경 데이터의 질적 수준 향상을 목적으로 지난해 실시한 전국 환경분야 오염도 검사기관 능력 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평가 결과, 1057곳 중 1041곳(98.5%)의 시험실이 시험 검사 능력 평가에서, 273곳 중 265곳(97.1%)의 시험실이 운영능력 평가에서 각각 적합 판정을 받았다.

시험 검사 능력 평가 시험실 중 16곳(1.5%)은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확인됐다. 수질분야에서 345곳 중 9곳(2.6%)이, 실내공기질 분야의 68곳 중 3곳(4.4%)이 각각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운영능력 평가는 273곳 중 8곳(2.9%)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으며 세부 분야 별로 수질분야에서 75곳 중 5곳(6.7%)이, 실내공기질 분야에 30곳 중 2곳(6.7%)이 각각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전국 환경분야 오염도 검사기관 능력평가는 매년 시행하는 시험 검사 능력 평가와 3년에 한 번 시행하는 운영능력 평가로 구분하고 있다.

이번 능력평가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은 시험실은 앞으로 3개월간 업무를 할 수 없으며, 다시 업무를 하려면 능력평가에서 적합 판정을 받아야 한다.

국립환경과학원은 평가기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민간측정대행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 시험·검사 능력뿐 아니라 운영능력도 함께 적합함을 보장하는 성적서를 첨부해야 등록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을 개정 중에 있다.

기존에는 시설과 인력을 갖춰 시험 검사 능력을 보장하는 성적서만 첨부해도 등록할 수 있었다.

측정기관에서 운영능력 평가를 통해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의 기술적인 지도를 받음으로써 시험실 운영에 실질적인 도움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운영능력 평가는 시험 검사기관들이 생산하는 시험성적서가 국제적 규정에 부합하도록 시험실의 인력, 장비, 시설 및 시험검사 결과와 관련된 자료를 검증하는 제도다.

최종우 과학원 환경측정분석센터장은 "2015년부터 시험 검사 능력평가 기준이 80점에서 90점으로 상향 적용됐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년에 비해 시험 검사 능력이 더 양호하게 나타난 것은 그동안의 평가제도가 제대로 효과를 발휘한 결과"라고 말했다.

2014년 평가 결과, 시험 검사 능력 평가에서 987개의 시험실 가운데 963개(97.6%)의 시험실이 적합 판정, 운영능력 평가에서는 총 222개의 시험실 중 218개(98.2%)가 적합 판정을 받았다.

한편 국립환경과학원은 측정대행업제도 개선방안과 환경측정분석사 제도 방안 등을 소개하고 시험실의 신뢰성 향상을 이끌고자 1월 27일부터 28일까지 이틀간 대구 엑스코에서 연찬회를 개최, 이 행사에 관계자 1200명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인배

최인배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