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체적 협의 없는 차량기지 이전, 일방적 사업 추진 반대
코레일 부지 35만9920㎡ 발전차・기관차 정비고 신설 확장
[환경데일리 이은주 기자]디젤기관차 집결지로 매연이 심한 코레일 수색역이 고양시 덕양구 덕은동으로 옮기려는 움직임 불거지고 있다.
고양시는 더 이상 기피 혐오시설 고양시 진입은 안된다는 기존 입장을 밝혔다.
29일 최근 불거진 '수색역 차량기지의 고양시 이전'논란과 관련한 서울시 개발사업에 따른 기피・혐오시설 이전 불가는 물론 일방적인 차량기지 이전은 강력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시는 최근 서울시 2030 도시기본계획에 5대 부도심권으로 계획된 상암・수색역 주변지역 개발을 위해 차량기지를 인근 고양시 물류기지로 기허가된 덕은동 지역이 검토되고 있다.
수색차량기지 이전 사업은 '코레일'에서 2013년 9월 '고양 수색역 북부선로 및 물류시설' 설치를 위해 개발제한구역 관리계획이 승인된 덕은동 97번지 일원을 유력 후보지로 두고 있다.
이유는 이전후보지가 철도공사 소유 토지에서다. 코레일 자료에 따르면, 부지 면적 35만9920㎡에 객차・발전차・기관차 검수를 위한 정비고와 선로를 신설하는 사업확장을 앞두고 있다.
고양시는 좌불안석이다.
이미 서울시가 운영하는 기피・혐오시설인 벽제화장장, 서울시 시립묘지를 비롯해 난지물 재생센터, 서대문구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 마포구 폐기물 처리시설로 인해 갈등을 일으키고 있다.
덕은동, 항동 등 해당 지역 주민들이 환경오염배출, 소음, 악취, 차량정체 등 심각한 피해를 보고 있다.
고양시는 2013년 물류시설를 위한 경기도도시계획위원회에 심의 시에도 소음, 진동, 교통정체 등 주민피해 발생과 인근 지역이 주거지역으로 향후 수많은 인구유입이 예상 이에 따른 대책수립이 필요하다며 입지반대를 경기도에 표명했었다.
연담화(連擔化)는 서울시에 의한 2개 이상의 도시가 확장에 따라 인접도시가 연결돼 하나의 거대도시가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여러 도시들이 기능을 서로 분담해 하나로서의 도시기능을 발휘하는 경우가 기피 혐오시설 분산이 있다. 서울시민들의 편리때문에 인근 도시는 불편함을 안을 살수 밖에 없다.
고양시 철도교통과 관계자는 "차량기지 이전으로 피해가 발생되는 고양시와 사전 협의 없이 서울시와 한국철도공사가 수색지역 철도시설 이전 기본구상 및 타당성 용역 및 예비타당성조사 등을 일방적으로 추진했다."면서 "다른 지역의 차량기지 이전과 마찬가지로 고양시와 마찰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