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대 역학조사 착수

한영익 / 2017-11-29 18:12:49
환경부, 민관 합동으로 생리대 건강영향조사 추진
연구 없어 유해물질 인체노출 특성과 피해 질환 파악
국립환경과학원, 식약처, 질병관리본부 협업 조사키로

[환경데일리 한영익 기자]환경부가 2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개최된 제25차 환경보건위원회(환경부차관 안병옥)에서 생리대 건강영향조사 청원에 대한 안건을 심의 청원을 수용하는 것으로 의결했다.


이는 그동안 안전성 논란이 있었던 생리대 사용으로 인한 건강피해 여부를 규명하도록 정의당 여성위원회에서 건강영향조사 실시를 환경부에 청원(2017.9.18.)함에 따라 추진됐다.

 
환경부는 생리대 건강영향조사 청원의 심의를 위해 식약처와 질병관리본부 등 관계부처와 역학, 임상, 노출 및 위해성평가·소통 등 민간전문가로 전문위원회(위원장 단국대 하미나 교수)를 구성 역학조사의 필요성과 조사방안을 검토했다.


전문위는 생리대 사용에 따른 건강피해 사례를 분석한 결과, 생리대에 포함된 유해물질로 인한 인체 노출의 가능성과 부작용 증상의 명확한 관련성 규명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건강영향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했다.  

지금까지 생리대 관련 설문조사 및 상담은 3곳으로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 접수된 신고는 모두 410건(8.21~9.29), 여성환경연대 릴리안생리대 피해조사를 통해 2944명(8.21~23), 또 한 곳은 한국소비자원에서 874건(1.1~9.25)을 상담했다.


환경보건회는 이번 회의에서 전문위원회의 검토 결과를 보고받고 생리대 건강영향조사 청원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 아울러 환경보건위에서 전문위원회의 검토 결과를 토대로 향후 효과적인 건강영향조사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국내 여성용 생리대 사용에 따른 건강영향조사는 국내외에서 연구가 거의 없었던 점을 고려해 생리대에 함유된 유해물질로 인한 인체노출 특성과 피해 질환을 파악하고 분야별 조사내용과 범위를 설계하는 기획연구 및 시범조사를 내년 상반기에 실시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를 토대로 생리대 사용과 건강피해 질환 발생간 관련성을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 피해호소 집단(자원자)을 대상으로 정밀조사를 실시하는 등 단계적 조사방안을 제안했다.


특히 여성 질환에 대한 정확한 유병률 파악과 건강문제 확인을 위해 중장기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 질병관리본부에서 수행 중인 건강관련 조사 및 연구사업과 연계 추진할 필요가 있음을 권고했다.  

환경부는 이번 환경보건위원회 논의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생리대 건강영향조사를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관련 기관별로 분담해 추진하기로 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생리대 사용과 건강피해간 관련성 규명 위한 정밀조사 등 실시하고, 식약처는 생리대 안전성 검증 및 위해성평가 등, 질병관리본부는 여성건강 국가단위 장기연구를 추진하기로 했다.

 
이번 회의에서 생리대 유해성과 부작용 논란과 국민들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연말부터 민관 공동조사 협의체를 구성해 조사설계, 결과 등 단계별로 관련 정보 제공과 다양한 의견을 수렴, 조사를 추진할 계획이다.

정해관 한국역학회장은 "역학은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건강과 질병의 위험요인을 찾아내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 증진을 도모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근거를 제공하는 과학"이라며 "환경노출로 인한 건강영향은 그 원인을 구명하는데 있어 보다 정교한 연구방법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한영익

한영익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