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질환 많아진 이유 '환경호르몬' 탓?
김영민 기자
news@ecoday.kr | 2018-07-21 15:40:30
시민, 1회용품 사용 의견 국민에게 물으니? 환경교육 중요
1회용품 억제 현금 제도 도입돼야, 시민 눈높이 정책 시급
유치원부터 환경교육, 시민중심 환경운동활동화 뿌리 내려야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 한영익 기자]국민권익위원회 국민생각함에 올라온 '일회용품 사용 DOWN! 편리성 UP!!같이 애기해봐요'라는 주제로 많은 의견들이 다양하게 나와 주목을 받았다.
의견을 묻는 김영수 씨는 "재활용 수거 문제로 쓰레기 배출과 환경문제가 집중 받는 것 같다.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생각한다면 하루가 급하다는 것에 공감한다. 또한, 모든 사람이 참여해야지 진정한 효과가 나타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하지만 급작스럽게 하거나 준비 없는 시행으로 인해 도중에 멈춘다면, 다시 시작하는데 더 큰 어려움이 있다. 1회용품을 사용을 줄이면서 나타나는 불편함도 최소화할 수 있는 것도 병행했으면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여름이 다가오면서 테이크아웃 컵의 사용도 많아지고, 1회용 컵과 빨대의 사용도 많아지고 있다. 특히 빨대는 작으므로 분리수거를 해도 재활용 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1회용 컵 사용을 줄이기 위한 것만큼 빨대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그는 제안도 함께 했다. 따듯한 음료의 테이크아웃 컵은 빨대가 없어도 마실 수 있는 구조로 돼 있는데, 차가운 음료의 경우 납작한 뚜껑으로 돼 있어서 빨대 없이 마시기 어려운 상태. 그래서 재활용하기 어려운 빨대를 사용하지 않아도 마실 수 있도록 차가운 음료 테이크아웃 컵도 개선했으면 한다. 혹은 디자인 공모를 통해서 제조업체나 음료업체에 권고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면 좋을 거 같다고 했다.
또 마트의 1회용 봉투 사용도 금지한다고 알고 있다. 1회용 봉투 대신 어떻게 포장해야 할 것인지 미리 의논을 나눠 봤으면 한다고 했다.
10여일 동안 의견에 참여한 119명의 다양한 목소리가 담겨졌다.
2가지에 의견 속에 ▲지속적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시행착오를 개선해 나가면서 천천히 완벽히 해야(44명 37.0%) ▲환경문제는 심각하기 때문에 불편함을 감수하더라도 빠르게 해야한다는 의견은 75명(63.0%)에 의견을 줬다.
시민들 생각에는 ▲디자인 컵 개선과 간편포장 방법 대한 아이디어 중요 ▲초등학교 부터 환경교육실시 ▲숙박업소 등 1회용품 사용자제 정부차원 대국민 캠페인 호소 ▲1회용 물품에 환경부담금 부과 ▲마트에서 장바구니 보증금받고 대여하고, 반납시 보증금 환불하는 제도 ▲1인가구 느는데 소포장 친환경적 재질 포장재를 의무화
휴대폰에 포인트를 적립해서 1회용품 안쓰기 위한 생활환경실천 시스템 구축 등이 쏟아졌다.
한 시민은 외국에서 이미 시도되고 있는 쓰레기 제로 운동의 일환으로 과자로 만든 컵, 과자로 만든 빨대등을 상용화해 음료를 마신 후 디저트로 컵, 빨대를 먹을 수 있도록 해 쓰레기 자체를 없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마트에서 비닐봉투 사용을 자제 유도 방안으로 현재 무상으로 제공하는 투명비닐봉투를 일정비용을 지불하자는 의견도 나왔다.
여성 시민은 무조건 규제 보다는 더욱 편리하고 환경오염도 덜 되는 용기 개발부터 해야 하고 이런 환경중소기업발굴에 집중하고 먼저 똑똑한 소비자가 돼 친환경 제품을 고집하고 플라스틱이 이용된 제품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기업도 그 기호에 맞춰 생산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강원도가 고향인 중년 남성은 산 좋고 물 좋다는 강원도도 곳곳에서 산과 밭에 플라스틱 농약통이 상당히 많이 쌓여 있는 경우를 본다. 아버지 세대부터 삼촌 세대는 환경문제에 대해서 정말 무관심하신 경우가 많았다..예전에는 그냥 플라스틱이든 생활 쓰레기이든 집에서 나오는 쓰레기는 다 태워버렸다. 아직까지 우리 곳곳 국민들의 부족한 인식 개선이 많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강원도 삼척에서 배추 농약을 치는 알바를 한적이 있다고 고백하고 배추를 기르는데 농약이 10가지 이상 들어간다. 배추 밭에 전문적으로 농약을 칠 때 1톤차 짐칸에 큰 물탱크에 고농도 농약을 물에 풀어서 사용한다. 그렇게 물에 희석한 농약을 배추 밭에 뿌리고 농약이 남을 시에는 그냥 무단 방류하는 경우가 있다고 경험담을 꺼냈다. 이러니 고랭지 배추 밭 산 비탈이나 높은 곳에 올라가서 농약을 치는데 농약이 남을 시에 그냥 계곡이나 하천에 무단 방류하는 경우를 번번히 충격적인 목격담을 소개했다.
대다수 시민들은 환경문제를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추는데 정부가 더 적극적으로 개입을 해야 할 만큼, 쓰레기 문제는 급박해졌다.어려서 곰탕을 집에서 먹을 경우 냄비를 들고 집 근처 곰탕집에 가서 사오던 기억처럼, 편리함을 추구하는 시대에서 환경을 생각하는 시대로 우리 스스로 바꿔야 하겠다.
독일, 스위스, 덴마크, 핀란드, 영국 등 우리보다 앞선 재활용 정책을 편 나라는 '쓰레기 자율 분리수거함' 설치해 시행하고 있다.
이들 유럽국가들은 마을별 혹은 인구수 대비해 일정한 장소에 한 눈에 알아보기 쉽게 쓰레기 분리수거함 설치로 자율적으로 재활용품 정리 및 쓰레기 처리하고 있다.
[ⓒ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