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발언대 일반시민 정부 의지요구
세계 최대 수입국가 오명, 안전성 뒷전
[환경데일리 한영익 기자]18년 전 농림부 김성훈 장관은 11월 22일 국회 입법을 통해 'GMO 농산물표시제'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당시 김 장관은 "시행시기는 최소한 일본보다는 빠를 것"이라고 강력한 국민먹거리 안전성에 대한 보장 의지를 밝혔다.
이 고시안은 단 3개 품목에, 그것도 원료농산물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서, 껍데기에 불과해 환경시민단체로부터 국민기만적 언론플레이라고 비판을 받았다.
최근 환경부에 올라온 GMO 표시제 강화 의견이 주목을 끈다.
이 글을 올린 김 모 씨는 뉴스 등에 심심치 않게 노출되는 GMO(유전자변형작물)은 기존의 육종방법으로는 나타날 수 없는 형질이나 유전자를 지니도록 개발된 농산물이 유통되고 있는 점에 먹거리 불안감에 대한 마음을 그대로 표현했다.
대표적인 GMO 식품으로는 식약처에 따르면 2013년 이후 올 8월까지 총 961만 623톤의 식용 GMO 농산물을 수입했다고 주장했다. 그중 옥수수가 505만 6780톤으로 가장 많았고, 대두(콩)이 450만 894톤으로 그 다음을 차지했다. 옥수수는 130만 1008톤이 전분류로, 222만 5694톤이 전 분당으로, 141만 7095톤이 곡류가공품 및 사료로 가공 생산됐다. 콩은 87만 6570톤이 콩기름으로, 짜고 남은 것으로 341만 680톤이 사료로 가공 생산됐다.
글쓴이는 이와 같이 많은 양의 GMO 식품들이 일반적인 가정의 식탁에 오르고 있는 점을 우려했다.
그러면서 GMO에 대한 문제점을 몇 가지 지적했다.
첫째, 장기적으로 GMO식품들을 섭취할 시, 부작용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실제로 프랑스 세렐라니 교수의 연구팀은 2년간 GMO옥수수와 라운드업(제초제)를 투여한 쥐와 반대의 쥐를 비교해 보았는데, 투여한 쥐는 반대의 쥐보다 2~3배가 많은 수가 더 빠른 시일 내에 죽었다고 밝혔다. 이어 연구팀은 GMO옥수수와 라운드업(제초제)가 마치 성호르몬을 교란시키는 독성물질처럼 작용했다고 밝혔다.
둘째, 농약의 사용량이 증가한다. 제초제에 내성을 가진 슈퍼잡초가 생기는데, 2009년에 슈퍼 잡초의 등장으로 농약 사용이 대폭 증가했다는 보고서가 있다. 미국 유기농센터의 수석과학자 벤브룩 박사는 미국에서 GMO재배 후 농약의 사용량의 변화를 분석했다. 약 13년간 분석을 한 결과, 보고서는 농약 사용량이 3억 1840만 파운드(1파운드는 약 0.45Kg)만큼 즉, 1억 4328만Kg 증가했다고, 제초제에 내성을 가진 잡초가 9종류 이상이라고 밝혔다.
GMO식품에서 문제가 되는 것 중 하나가 제초 농약이다. 인터넷매체 조 모 기자는 제초 농약의 주성분인 글리포세이트는 독성이 매우 강해서, 아주 작은 양도 당뇨, 신장병, 암, 뇌질환, 심장병, 우울증 등 난치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말하며, 세계보건기구는 2015년 글리포세이트를 발암물질로 규정, 유럽은 사용이 전면 금지된 상태라고 말했다.
셋째, 유기농으로 재배를 할 경우에도, GMO의 오염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미국의 한 환경단체인 Food & Water Watch는 GMO가 다른 경작지에 침투함으로써 벌어진 경제적 손실을 정리해 보고서로 발간했다. 17개 주의 농부 2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는데, 응답자의 80% 이상이 GMO로 인한 오염 가능성을 걱정했다. 오염이 발생하는 이유로는, 인근 경작지로 GMO 꽃가루가 날아가거나 아예 종자가 이동할 수 있기 때문. 실제로 오염으로 인해 미국의 유기농가에서 정부의 유기 인증을 상실한 사례가 보고되기도 했다.
이처럼, GMO식품은 아직까지 안전성에 대해 제대로 검증되지 않았으며, 농약의 과다 사용과 오염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글쓴이는 이런 문제점을 인식하고 'GMO표시제'를 통해 소비자들이 GMO식품 소비를 피할 수 있어야 하지만, 우리나라의 'GMO표시제'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거듭 표시제를 촉구했다.
유럽은 식품, 가공식품, 외식산업, 사료 부분에서 모두 표시를 하는 반면에, 우리나라는 식품에서는 식용유, 간장 등은 제외되며, 가공식품은 상위 5개 품목으로 한정돼 있고, 외식산업과 사료는 표시 대상도 아니다. 우리나라는 소비자들의 제품 선택과 제품 정보에 대한 알 권리를 보장 GMO표시제를 더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