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에너지, 전국 미이용 임목부산물 자원화

김영민 기자 / 2017-06-13 10:10:15
산림작업 후 미이용 임목 부산물 자원화 노력 시작
부여국유림관리소, 산림바이오매스에너지협회와 협약
각 지자체 및 정부 부처와 손잡고 사업 확장 추진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신영이앤피, SY에너지가 7일 중부지방산림청 부여국유림관리소, 산림바이오매스에너지협회와 함께 임목 부산물 자원화 시범사업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미이용 임목부산물의 자원화 사업에 본격 착수했다고 13일 밝혔다.


충청북도 진천군에 위치한 연간 30만톤의 아시아 최대의 목재팰릿 제조회사인 SY에너지(주)(대표 김지응)가 7일 중부지방산림청 부여국유림관리소(소장 안의섭), (사)산림바이오매스에너지협회(회장 신두식)와 '임목 부산물 자원화 시범사업'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부여 사업소 국유림에서 관련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지금까지 모두베기, 숲가꾸기 등 국내 산림작업 후 발생되는 가지, 자투리 목재 등의 임목 부산물은 전국적으로 매년 약 400만톤이 발생했으나 회수 비용이 많이 들고 적절한 소비처의 부재로 사실상 방치 후 버려지고 있었다.


미이용 임지잔재의 활용이 가능한 목재팰릿은 폐목을 사용하는 폐기물 고형연료(BIO-SRF)와 달리 오염되지 않은 목질원재료만 사용하는 신재생에너지로 IEA(국제에너지기구)를 비롯, EU와 북미선진국에서 현재 석탄 대체 청정발전 연료로 각광받고 있으며 환경부의 배출계수에도 그 청정성이 기술적으로 입증된 바 있다.


그러나 국내는 생산설비가 수요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국내산 목질계 원재료의 수거가 원활하지 못해 소요량의 97%를 해외에서 수입 조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SY에너지는 이같은 틈새 자원확보를 인지하고 부여국유림관리소와의 업무협약을 맺고, 이어서 진천군과 업무협약을 맺는다.

향후 충청북도를 비롯, 전국의 자치단체, 행정기관들과 함께 국내 미이용 임산자원의 활용방안에 대해 모색하고 있다.

▲충북 진천군 초평 일대 18만평 부지에 연간 생산 용량은 30만톤

제조시설을 완비하고 시험 생산 기지 SY에너지(주) 

 
SY에너지는 이번 시범사업을 계기로 국내산 목재펠릿의 대량생산이 가능해짐으로써 국내 신재생에너지의무할당제도(RPS)의 개선과 국내 임업산업의 발전, 그리고 지역 일자리 창출에 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SY ENERGY(주)는 2013년 3월 설립, IEA, 유엔 및 선진국으로 각광받는 신재생에너지원인 순수 목질계 에너지원인 목재펠릿을 동양 최대로 제조 및 판매하는 회사다. 총 930억원의 투자 유치를 통해 충북 진천군 초평 일대 18만평 부지에 연간 생산 용량은 30만톤 제조시설을 완비하고 시험 생산 중이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영민 기자

김영민 기자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