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소각장 생활폐기물 처리단가 평균 15만 원
소각재까지 처리해주고...실제 11만 원에 불과
일부 지자체 발표 및 언론 보도 사실 크게 달라
국가 조달 창구인 나라장터의 신뢰까지 깨버리는 공작행위를 멈춰야 한다.
최근 특정 지자체나 언론 보도가 도를 넘어 자원순환경제의 질서까지 흔들고 있다.
핵심을 살펴보면, 직매립 금지가 강행되면 민간소각장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데, 비용이 공공시설의 두 배 가까이 된다고 발표했다.
한 발 더 나아가, 실제로 민간소각장 평균 처리비는 톤당 26만6000원으로, 공공(소각)시설 12만∼16만 원보다 1.5∼2배 비싸다는 악의적으로 보도했다.
이번 보도내용에 관련, 자원순환에너지공제조합은 단호한 입장을 표명했다.
나라장터 입찰정보를 보면, ‘25년 10월 말 현재 수도권 각 지자체에서 발주한 생활폐기물 민간소각 위탁용역의 평균 처리단가는 톤당 14만 5000원으로 조사됐다고 반박했다.
공공소각시설 처리비와 유사한 톤당 12만~16만 원 수준으로, 최근 민간소각 처리비가 공공소각장에 비해 2배 가까이 높다거나, 톤당 26만6000원에 육박한다는 주장은 사실과 전혀 다른 주장이라고 밝혔다.
공제 조합은 그간 지자체의 생활폐기물 처리비용 상승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처리비 인상폭에 억제하며 지역경제와 국가 자원순환경제사회에 기여하는 목적사업을 했다고 밝혔다.
특히 중장기 계약 확대 등 제도적 장치 마련을 지속적으로 제안해 왔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실제 서울시 소재 여러 지자체와는 장기 위탁계약을 체결하는 가시적인 성과로 냈다고 진행해온 업무도 소개했다.
인천 서구와의 생활폐기물 처리에서도 상호 협의하에 처리비용을 결정하도록 협약했다.
′25년도 수도권매립지 생활폐기물 반입단가와 비교가 된다.
매립단가는 톤당 11만6000원이지만, 반입총량제에 따라 할당량의 25% 이상을 초과하는 물량은 톤당 약 15만 원에 처리하고 있다.
민간소각장 평균 처리비인 톤당 14만 5000원은 지자체의 실질적인 부담 측면에서 경쟁력이 있는 비용이다.
무엇보다도 소각 과정에서 생활폐기물 1톤당 약 25% 발생하는 소각재의 처리비용까지 모두 포함돼 있음을 감안, 실 처리비는 톤당 약 10만8750원 수준으로 수도권매립지 반입단가와 비교하더라도 결코 높은 비용이 아니라고 명확하게 제시했다.
실제로 14만5000원(수도권 생활폐기물 평균 톤당처리비) 에서 3만6250원 소각재 처리비를 제외하면 실제 소각비용은 10만8750원이다.
한국자원순환에너지공제조합측은 영업이익을 좇는 형태에 매몰되지 않았고 철저하게 국가 자원순환경제정책이 이바지하는데 노력해왔다고 호소했다. [환경데일리 = 김영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