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사업 부실, 세종보 물막이 무더기 나와

한영익 / 2018-12-20 11:00:36
금강 세종보서 5년 넘게 방치한 물막이 130개 발견
세종보 부실 준공 증거, 금강 자연성 회복의 장애물
녹색연합, 당시 사업 주체 국토부는 진상 조사 진행

[환경데일리 한영익 기자]환경부와 국토부는 4대강사업 재자연화 회복을 위한 민관 활동이 시작된 가운데 4대강 자연성 회복을 위한 조사평가단은 부실 공사 세종보 철거 방안을 마련하라는 주장이 또 다시 터졌다.
 
9일 녹색연합과 대전충남녹색연합은 금강 세종보 현장 조사를 통해 4대강 사업 당시 설치된 것으로 추정되는 130개의 가물막이를 세종보 상류에서 확인했다. 가물막이는 약 폭 40m, 길이 250m 면적에 설치된 것으로 보이며, 가물막이의 크기를 감안하면 설치된 개수는 1만개 이상일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수문이 전면 개방된 세종보는 가물막이의 영향으로 물과 모래의 흐름을 방해받고 있다. 가물막이가 설치된 곳은 퇴적이 심하게 돼 물길이 수력발전소 쪽으로 치우쳐있다. 이로 인해 가물막이가 설치된 곳만 육상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는 또 다른 생태불균형을 가져올 수 있다. 4대강 자연성 회복을 위한 조사평가단은 부실시공으로 금강의 자연성 회복을 방해하는 세종보의 철거 방안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특히 K-water 한국수자원공사는 4대강 공사 이후 추가적인 준공은 없었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이 가물막이는 4대강 사업 당시 시공사에서 임시로 설치 후 준공 허가를 받은 뒤 방치한 것. 시공사 관리 책임이 있는 국토부는 진상 확인 후 시공사에게 처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국토부는 세종보 부실공사에 대한 진상 조사와 함께 입장 표명이나 현재 현장 조사 등 그 어떤 대응도 하지 않고 있다.

녹색연합측은 4대강 사업 당시 사업 주체인 국토부는 당시 준공 허가 과정을 전면 공개하고, 부실 준공이 드러난다면 허가를 낸 책임자를 처벌해야 마땅하다고 밝혔다. 
 
이번 사태에 대한 조사 활동은 국민들의 신뢰를 바탕으로 진행돼야 한다. 그러기 위해 진상조사는 관과 시민, 시민단체가 합동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청와대는 준공을 허가한 국토부에 책임을 묻고 4대강 사업 부실 준공 전반에 대해 진상을 규명하라고 거듭 주장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한영익

한영익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