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철책선 제거, 전격 합의 문제는 다?

이수진 / 2018-07-25 11:01:08
규제완화 '탄력', 관할 군부대와 군 철수 및 철책선 제거
행주산성서 일산대교 구간 12.9km 철책선 제거 한강 개방
제거후 한강 개방에 따른 장항습지 훼손 불가피 대책 필요

[환경데일리 이수진 기자]고양시(시장 이재준)는 김포대교에서 일산대교까지 8.4km 구간에 대해 관할 군부대와 군 철수 협의를 완료하고 자유로변 1차 철책선 제거를 시작으로 오는 2019년까지 철책선 제거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시는 지난 2008년 한강의 군 전략적 효용가치를 상실한 행주산성에서 일산대교 구간 12.9km에 대한 군 철책선을 제거하고 시민들에게 한강을 개방하기로 군부대와 협약을 체결했다.


이후 사업비 146억 원을 투입해 군 작전보완시설, 감시 장비, 부대이전 등 군 협약 사항 이행을 완료하고 2012년부터 행주산성에서 김포대교까지 3.3km의 철책선을 제거했으며 철책선 제거 구간에 행주산성 역사공원을 조성함으로써 시민 휴식 공간 제공으로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다.

그러나 김포대교에서 일산대교 구간 8.4km은 군경계·작전상 사업이 지연되고 있는 김포시 구간과 고양시 구간을 동시에 철거해야 한다는 군의 입장에 따라 사업이 장기간 표류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에 시는 한강누리길 이용자 1500여 명의 규제해제 서명과 시민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지난 2월부터 군부대와 여러 차례 간담회 진행, 한강철책선 사업 조기 추진을 적극 요청했다. 그 결과 군부대는 오는 7월말 고양시 구간에 대한 우선 철수를 결정했다. 또한 양 기관은 군 철수 구간에 위치한 장항습지 보전을 위해 출입통제 등 군 철수 이후 운영에도 적극 협조하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군 철책선 제거사업과 관련해 군 규제가 신속히 해제될 수 있도록 협조해 주신 군부대 관계자께 감사드린다."며 "행주대교에서 일산대교 구간의 한강 철책선을 조기에 철거함으로써 한강을 시민들에게 최대한 빨리 되돌려주도록 노력하겠으며 장항습지 등 생태계 보전에도 만전을 기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철책선 제거 이후 시민들에게 개방될 경우, 장항습지 등 한강하류 생태계가 훼손될 수 있을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고양환경운동연합측은 "충분한 검증과 시민개방에 따른 사후 문제, 철새나 기존 동식물 파괴가 뻔하다."면서 "철책선 제거는 합당하지만, 시민들이 무분별하게 들어가면서 벌어지는 쓰레기투기, 동식물 파괴 등 환경오염은 가중될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수진

이수진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