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달도, 율도 등 태양광・태양열 시설 설치
수산자원 보호와 해양생태계 보전 사업 추진
[환경데일리 이수진 기자]목포시가 2018년도를 친환경 항구, 청정한 목포시 건설을 위한 환경 및 안전을 최우선으로 시민권리보장을 위한 새롭게 탈바꿈하는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목포시는 국토교통부 지원사업인 '2018년 지능형교통체계(ITS) 구축 사업'공모에 선정돼 국비 8억원을 확보했다.
![]() |
이번 공모는 전국 24개 자치단체가 응모해 국비 확보를 위해 열띤 경쟁을 펼쳤다. 목포시는 열악한 시 재정여건상 국비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절박한 자세로 공모계획을 면밀히 분석하고 국토부를 수차례 방문해 결국 교통 여건 개선을 위한 종자돈을 마련했다.
시는 내년에 국비 8억원과 시비 12억원 등 총사업비 20억원을 들여 시내 일원에 첨단교통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전남 서부권 교통요충지인 목포시는 면적이 좁고 도심부에 교통량이 집중돼 정체구간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 내년에 해상케이블카가 개통하는 등 매년 교통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이에 대비하기 위해 지능형 교통체계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다.
시는 ▲교통관제센터 구축 ▲사고다발 및 상습 정체구간 교통관리 CCTV 14대와 첨단신호제어시스템 설치 ▲ 관광객 우회정보 제공을 위한 도로전광표지 4대 설치 등을 실시해 차량분산을 유도하고, 교통사고 등 돌발상황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제공할 계획이다.
목포시는 신재생에너지로 청정도시 구축을 위한 국비 10억4000만원 확보, 2018년에 외달도, 율도 등에 태양광 및 태양열 시설 설치하게 된다. 시는 산업부의 2018년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공모에 선정돼 총사업비 21억 중 국비 10억4000만원을 확보했다. 신재생에너지 보급 활성화를 위해 추진되는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은 기존 개별지원에서 탈피해 특정지역 또는 건물에 2종류 이상의 설치하는 사업이다.
시는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부응하기 위해 외달도와 율도를 에너지 자립섬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골자로 공모에 참여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분야별 최고 전문가 그룹으로 구성된 심사위원 공개평가와 현장방문 평가 등을 통해 목포시를 전국 65개 자치단체 중 11위에 선정했다.
이번 사업이 마무리되면 연간 321톤(석유환산톤)의 화석에너지 대체효과와 570톤의 이산화탄소 절감효과, 연간 약 1억5000만원의 에너지 사용비용 절감효과 등이 기대된다.
시는 한발 더 나아가 수산자원 보호 및 해양생태계 보전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수산자원 보호와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한 사업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시는 건강하고 활력 있는 바다환경 조성을 위해 올해 3억85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조업 중 인양쓰레기 수매사업, 해양환경정비 기동대 운영, 해양쓰레기 정화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조업 중 인양쓰레기 수매사업은 조업 중 인양된 폐어망 등 해양쓰레기를 항구로 되가져와 처리하는 사업으로 올해도 사업비 1억4000만원을 들여 목포수산업협동조합에 위탁·추진하고 있다.
깨끗한 해양환경을 조성하려는 어업인들의 적극 참여로 2004년 시행 이후 그동안 총 1800여톤의 해양쓰레기를 수거했다. 올 7월에 장기간 방치된 해양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목포지방해양수산청, 한국어촌어항협회 등 3개 기관 합동으로 해양관리선, 공공근로자 등이 해안가 쓰레기와 폐그물 10톤을 수거했다. 시는 앞으로 한국어촌어항협회의 신조선박이 건조되는 내년 초에도 해당 기관이 힘을 모아 잔여 구간의 폐그물을 처리할 계획이다.
해양환경정비 기동대는 공공근로 공백기에 주요 관광지 해안가 및 물양장 일대를 순회하면서 해양쓰레기 수거를 전담하고 있다. 2018년에 해상케이블카 개통에 대비해 대반동 일대 연안지역까지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해양쓰레기 정화사업은 도서지역 해안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도서지역 주민들이 참여하는 사업으로 올해는 15명이 참가해 해양쓰레기 70톤을 수거했다. 시는 관내 9개 어촌계와 벧엘교회, 낚시협회 등 해양쓰레기 수거에 자발적으로 참여해 온 단체들과도 앞으로도 협력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이 밖에도 어업 활동 중 발생한 폐기물 및 인양한 쓰레기의 재투기를 예방하기 위해 해양쓰레기 선상집하장 13개소를 설치해 수시로 수거하고 있다. 또한 매월 목포지방해양수산청, 해양환경관리공단, 어민단체 등과 협력해 바다청소의 날을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