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데일리 이남일 기자]108만 명 고양시의 인구는 15년 후 130만 명으로 늘어 대도시로 진입하게 된다. 이는 고양시가 추진하는 고양특례시의 뒷받침이 되고 있다.
고양시(시장 이재준)는 지난 24일 오후 덕양구청 대회의실에서 '2035년 고양도시기본계획(안)'에 대한 공청회를 개최했다.
대진대 최주영 교수의 주재로 1시간 30분 동안 진행된 이번 공청회에는 서경대 김인하 교수, 수원대 박재홍 교수, 고양시의회 문재호 건설교통위원장, 시민단체인 고양시민회 최태봉 대표가 토론자로 참석했다.
'2035년 고양시 도시기본계획(안)'은'‘화합과 교류의 첨단미래도시, 고양'이라는 미래상을 제시했다.
시의 공간구상을 2도심· 2부도심· 8지역중심으로 개편하는 등 변화하는 도시여건을 반영하고 미래 지향적인 지속가능한 도시공간구조와 장기발전방향을 수립했다.
서울시의 배드타운이 아닌 자족기능이 가능한 경기 서북구의 지역경제축이 되겠다는 청사진을 담고 있다.
이날 공청회는 500여명의 시민들이 온라인으로 직접 참여해 창릉신도시 개발에 따른 교통문제와 일자리 중심의 개발 문제 등 고양시의 미래발전에 대해 질의 하는 등 많은 관심을 표명했다.
공청회에 앞서 이재준 시장은 인사말에서 "고양시의 도시기본계획은 공공이 홀로 만들 수 없으며 도시의 주인인 108만 고양시민이 주도해야 한다."며, "시민들이 주신 의견은 관련부서에서 꼼꼼히 검토해 도시기본계획에 참고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공청회에서 나온 주민 의견은 10월 12일까지 수렴할 예정이며, 고양시는 이후 관련 절차를 이행하고 고양시의회 의견청취, 도시계획위원회 자문을 거쳐 경기도에 승인을 신청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박현경 고양시의원은 "고양시의 균형적인 발전은 인구와 비례하지만, 더 중요한 부분은 인구가 늘어나면서 여러가지 사회적 장애요소인 친환경 주요 시설에 대한 이전 시책과 친환경 교통인프라, 녹지율을 끌어올릴 수 있다는 부분도 함께 논의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