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0억원 규모 2017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사업 시행계획 수립
2017년도 전략적 기술개발, 기술 사업관리 및 홍보 중점 추진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국내 산업계 쏟아지는 탄소를 잡아서 탄소자원화를 위한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사업이 본격화된다.
![]() |
미래창조과학부가 2017년 신규사업 192억원 포함 총 770억원 규모의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사업 시행계획을 확정했다고 8일 밝혔다.
이 사업은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해 온실가스 저감 자원화 및 기후변화 적응분야에서 세계 선도적 원천기술을 확보, 미래 성장 동력 창출과 동시에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번 시행계획 수립으로 연구 우수성 및 기술 가치(특허, 기술이전 등) 측면에서 다수의 우수연구 및 기술개발 실적을 창출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연구관리전문기관(15개) 커뮤니티 및 수요기업(200여개) 협의체 구성 운영을 통해 산업계의 수요에 기반한 '기후기술 확보 로드맵 수립' 및 기후산업육성모델을 발굴한다.
환경부,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와 합동으로 선정한 우수성과 10선 발표한다.
2017년도에 기후변화대응 원천기술의 조기 실용화, 상용화 지원을 목표로 '전략적 기술개발, 기술 사업관리 및 홍보 강화, 협업 및 지원체계 확충 등 중점 추진방향을 설정했다.
먼저 전략적 기술개발은 기후변화대응기술의 체계적인 확보·확산을 통해 파리협정 이행을 효과적으로 지원한다.
탄소저감 분야에서 지난해 도출한 기후산업육성모델을 중심으로 신규과제 기획 선정을 추진할 계획이며 탄소자원화 기술개발과 국내 기후변화대응기술의 개도국 현지 사업화 지원도 신규로 추진한다.
또한 지난해 발굴한 모델 외에 기술 및 정책 동향 등 환경변화를 분석해 기후산업육성모델을 추가 도출,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이산화탄소 포집 저장(CCS, Carbon Capture and Storage) 사업단이 올해 3단계 진입시켜 2단계까지의 최고 성과를 중심으로 선택과 집중을 통해 관계부처와 협력해 포집 저장 및 포집 전환 통합 실증을 추진한다.
두 번째는 기술,사업 관리 및 홍보 강화다.
연구자의 폭넓은 참여와 창의적 연구개발을 유도하고 성과활용 지원을 확대한다. 이를 위해 과제 기획절차에서 현장 수요 반영을 지속 강화하고 심층평가로 상호토론 평가 기법을 시범 도입해 평가의 객관성을 제고한다.
차세대 탄소자원화 경우 올해 64억2300만원를 선정 평가에 도입한다.
또한 기후변화 R&D 성과 활용 확산을 위한 기술관리, 홍보 및 지재권 분석도 강화한다. 특히 과제별 기술관리를 추진해 연구개발 성과를 상호 연계 극대화하고 기술전시 및 개도국 NDE(Nat’l Designated Entity, 유엔기후변화협약에 따른 개도국 기술지원 국가별 창구) 초청 컨퍼런스 등 기후기술대전(가칭)개최 및 기후기술 IP 분석을 통해 성과를 홍보·확산한다.
미래부는 협업 및 지원체계 보다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민관 소통을 강화하고 기후변화대응기술 정책기획·성과확산 전략 플랫폼을 운영한다.
연구관리전문기관 커뮤니티와 수요기업협의체 운영으로 현장 수요에 부합하는 사업수행 및 정책기획을 지속 강화한다.
참여할 15개 연구관리 전문기관는 한국연구재단, 에너지기술평가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산업기술진흥원, 해양과학기술진흥원,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환경산업기술원,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보건산업진흥원, 국립보건연구원, 기상산업진흥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국립산림과학원, 국립식량과학원, 지식재산전략원이다.
탄소저감 6대분야 등에 국내 200여개 기업이 모인다.
올해 새롭게 추진하는 기후기술 협력 분야에서도 국내 CTCN(Climate Technology Center & Network, 기후기술센터 & 네트워크) 회원기관 협의회를 구축해 관련 정책과 현황을 공유하고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기획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또한 탄소저감과 탄소자원화 분야별로 기술 전문성에 바탕을 둔 전략 플랫폼을 구축 운영해 관련 정책기획 및 제도개선, 성과확산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특히 LCA방식의 온실가스 감축 산정기술 개발도 병행해 원천기술 단계부터 기술의 온실가스 감축 기여도를 판단, 최적 가용기술을 도출해 나갈 계획이다.
전과정 평가(Life Cycle Assessment)는 제품, 공정, 활동 등의 전과정에서 사용된 물질과 오염물질을 규명하고 정량화해 지구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평가를 말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이번 시행계획에 따라 신규과제 공고(3월 예정) 및 선정(4월 예정) 등 차질없이 사업을 추진 기후변화대응 원천기술 확보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미래부 정병선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이 시행계획을 통해 탄소저감과 탄소자원화 등 기초원천 핵심 연구성과가 조기에 실용화와 상용화돼 온실가스 감축과 동시에 신 기후시장 선점에 기여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