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고산농협, 관련전문와 농촌보육사업 모색
[환경데일리 문종민 기자]귀농인이 줄고 있고, 농촌으로 내려가도 보육문제로 인해 다시 떠나는 경우가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문제 해법과 대안을 찾기 위해 농협중앙회(회장 강호동) 농협경제연구소는 26일 전북완주 고산농협에서 2024년 '농청(農聽) 현장포럼'을 열었다.
'농청(農聽) 현장포럼'은 현장 의견수렴을 통해 연구의 현장성을 강화하고 농정현안 이슈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농협경제연구소가 2022년부터 개최해오고 있다.
이날 포럼은 박재민 농협경제연구소 부장과 손병철 고산농협 조합장, 농식품부 및 전북지역 보육사업 담당자, 관련연구자, 농협 관계자 등 20여명이 넘게 참석했다,
![]() |
▲26일 전북완주 고산농협에서 개최된 '농청 현장포럼' 참석자들이 단체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1열(앉아계신분 5명) 왼쪽부터 유지혜 영농조합법인 바람난농부 대표, 김규수 원광대 유아교육과 명예교수, 박재민 농협경제연구소 부장, 손병철 고산농협 조합장, 김은설 육아정책연구소 선임연구위원 |
이번 주제는 '저출산 시대, 농촌보육사업 현황과 활성화 방안'으로 발표와 토론이 있었다.
발제자는 '농촌보육사업 현황과 개선방안'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소 김은설 선임연구위원이 발표했다. 사례발표는 전북 완주 '고산농협의 농번기 아이돌봄방 운영' 사례와 경기 이천 '신둔농협의 어린이집 운영'사례가 소개됐다.
손병철 고산농협 조합장은 "고산농협의 농번기 아이돌봄방 운영사례는 영유아를 양육하는 지역의 청년 농업인들과 다문화가정에 큰 보탬이 되고 있다."며 "보육인프라가 열악한 농촌지역에 정책지원이 확대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포럼을 개최한 농협경제연구소 박재민 부장은 "농촌보육사업 활성화 방안들이 실효성 있는 정책들로 연계, 보육시설이 없어 농촌을 떠나야 하는 현실이 개선되고 궁극적으로 심각한 저출산과 지방소멸 문제가 해소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