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철강산업 혁신성장 전략 진단 당면한 과제 극복방안 논의
8개 테마 4차산업혁명 대비 환경, 에너지, 통상, 신기술 등
[환경데일리 최인배 기자]한국철강협회, 대한금속재료학회, 산업통상자원부가 4차산업혁명시대에 맞춰 국내 철강산업의 혁신성장 전략을 진단하고 당면한 과제 극복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2018SteelKorea'는 현장감을 갖춘 국내외 전문가 발제와 심도있는 토론이 진행된다.
8월30일 31일 양일간 열리는 코엑스 컨퍼런스룸 308호실 등에서 기조연설에 장지상 산업연구원장이 '4차산업혁명 및 혁신성장' 주제로 미래철강산업을 제시한다.
양일간 모두 8개 테마별로 철강산업 미래 혁신성장 전략, 통상, 신기후변화정책 및 환경규제, 전기요금, 혁신기술, 철강 건축물 안전과 생활, 스테인리스 제품 개발동향과 적용, 스마트표면처리강판의 신공정 및 제품연구 동향에 대해 각각 세션별로 발표 토론이 이뤄진다.
좌장으로는 유석현 두산중공업 고문이 진행하는 1세션에는 철강공정 지능화 적용사례(이종석 성균관대 교수), 빅데이터분석 합리적 의사결정(진서훈 고려대 교수), 중소제조업 위한 스마트공장개념 구축방안(이규봉 한국스마트제조산업협회 부회장)이 참석한다.
2세션에는 안덕근 서울대 교수의 진행으로 글로벌 철강통상환경의 역사적 변천(이윤희 포스코경영연구원 상무), 과잉설비 현황 및 대응(Anthony de Carvalho 수석경제학자), 보호무역조치 문제점 및 대응안(이재민 서울대 교수)의 발표에 이어 허윤 서강대 교수, 정기창 변호사가 나선다.
3세션에 2030온실가스맵 로드맵 점검 및 제안(강윤영 서울대 교수), 배출권거래제 2차 계획기간 대응전략(박영구 에너토피아 대표), 자원순환사회 철강 부산물 친환경 경쟁력(허재용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이 현실감 있게 발표한다.
이어 4세션은 김진우 연세대 교수가 좌장으로, 전기요금 체계 개편 및 정책제안(김대욱 숭실대 교수), 발전용 에너지세제 변화 전기요금 영향(박광수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 독일 에너지전환과 산업용 전기요금 현황(Marian Bons Ecofys 수석)이 각각 주제발표와 김창섭 가천대 교수, 석광훈 녹색연합 전문위원이 토론에 참석한다.
5세션은 손일 연세대 교수가 좌장으로 철강산업 CO2 저감기술(이운재 포스코 그룹장), 4차 산업혁명 시대 준비와 대응(안재환 현대제철 실장), 스마트공장 디지털 트윈 기술 적용(왕지남 아주대 교수), 정부R&D 정책 및 지원방향(임영목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을 밝힌다.
다음날 31일 6세션에 조봉호 아주대 교수의 진행으로 국내외 초고층 건축물 특징과 철강재 적용 전망(정광량 동양구조안전기수 대표), 강건재 활용 스마트 컨스트럭션 방향(이승은 포스코 그룹장), 모듈러 건축의 재사용 기술개발 사례 및 전망(정찬우 포스코A&C 박사), 스탈하우스 건축물의 미래기술 동향(정재민 제이건축 대표)에 대한 전문적인 사례의 대응 등을 공개한다.
7세션은 좌장 박경태 한밭대 교수의 중심으로 스테인리스 건축안전시설물 수요개발 현황(범진문 포스코 팀장), 물산업 APPLICATION 요구특성과 소재 기술수준 비교(박계병 포스코 PCP), 세계 건축구조용 STS강재 개발과 적용 사례(김태수 한밭대 교수), 3D 프린팅 STS소재와 실제 제품개발 사례 및 전망(장중식 국민대 교수)이 나선다.
마지막 8세션은 금속재료학회 주관 철강기술심포지엄으로 겸해 진행되는데 이상율 항공대 교수의 좌장을 맡아, 디지털 프린터&잉크 기술 철강 접목과 산업별 적용사례(정관춘 잉크데크 사장), 고해상도 PosART 강판 기술 개발 현황(김진태 포스코 박사), 차세대 칼라강판 제품 기술동향(함영법 동국제강 선임), 블랙 STS 코팅강판 개발 및 적용 현황(노진균 포스코강판 팀장), PosPVD 제품 개발 현황(곽영진 포스코 박사), AI계 표면처리 강재 내식특성(이명훈 한국해양대 교수)에 대해 각각 발표와 집중토론을 잡혀 있다.
신청 문의 한국철강협회 02-559-3537/ 3557 yuna.kim@ekos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