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조속한 경주반환 청와대와 문화재청에 거듭 촉구
[환경데일리 이수진 기자]"청와대 석불좌상의 경주로 다시 오는 것은 당연한 경주문화를 지키는 시민행동입니다."
경주문화재제자리찾기시민운동본부(대표 김윤근 경주문화원장)는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慶州 方形臺座 石造如來坐像, 보물 제1977호, 일명 청와대 미남석불)의 경주반환을 위해 경주시, 경주시의회와의 범시민추진위원회 구성을 추진해 합의에 이르렀다.
2일 기자회견에서 일제강점기에 의해 약탈된 소중한 경주의 문화재를 제자리 찾기 사업은 민관, 시의회가 소명을 달리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 문화재의 경주 반환요구는 지난해 제72주년 광복절을 앞두고 서울소재 '문화재제자리찾기운동본부'의 혜문스님이 반환을 촉구하는 진정서를 청와대에 올리면서 촉발됐다.
실상 수 십 년 전부터 경주의 문화인들은 이 문화재의 진정한 재평가 및 경주반환을 위한 연구와 활동들을 이어왔다.
반환운동 시작의 촉발은 1912년 경 경주에 살던 일본인 상인에 의해 본래의 자리에서 옮겨졌다가 서울의 데라우찌 총독 관저로 진상이 될 때부터 경주의 문화재제자리운동은 시작됐다.
지난 9월 경주시의회는 한영태 시의원의 발의로 이 청와대 석불의 경주반환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이러한 성과들을 모아 운동본부는 9월7일 주낙영 경주시장을 면담하고 조속한 반환과 관련한 협의했다. 운동본부는 문화재과 이채경 과장과 실무적인 협의를 먼저 거쳐 효과적인 반환 운동이 되도록 의견을 나눴다. 주 시장은 역시 시장 취임하기 전에 운동본부의 발기인으로 등록 청와대 불상 반환을 비롯한 문화재 제자리 찾기에 큰 관심을 가져왔다.
주낙영 시장은 "3자간 범시민추진위 구성에 전적으로 동의했다. 운동본부는 추진경과와 범시민추진위의 합의소식을 시민에 보고하고, 향후 추진방향을 알리고자 이렇게 기자회견을 개최했다."고 말했다.
경주문화재제자리찾기시민운동본부와 함께하는 단체는 문화재제자리찾기운동본부(혜문), 경주문화원, 경주향교, 경주상공회의소, 경주학연구원, 신라문화동인회, 신라문화원, 경주발전협의회, 경주남산연구소, 경주시민총회, 경주청년포럼, 지방분권운동본부이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 불상을 제자리에 돌려주도록 검토할 것을 지시한 후 문화재청이 정밀조사 등 행정적인 과정을 거쳐 보물로 승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