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과 환경성 겸비 새로운 연료 인식 전환, 자원화 가능높아
빠르면 올 연말이나 내년초로 성과, 탈황설비 우수해 친환경적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한국전력공사(사장 조환익), 현대중공업 및 오일뱅크 3사는 29일 현대중공업 서울 계동사옥에서 해외 Pet-coke(석유정제 부산물) 발전 공동개발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 날 체결식은 한국전력 유향열 부사장, 현대중공업 정기선 전무 및 오일뱅크 문종박 사장이 참석해 향후 Pet-coke 사업에서 3사의 협력을 다짐했다.
Pet-coke 발전은 원유의 정제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부산물인 Pet-coke을 발전연료로 이용하는 방식이다. Pet-coke은 석탄 대비 20% 이상 저렴하고, 열량은 석탄과 유사하지만(약 8000kcal/kg) 황 함유량이 높아 청정발전 연료로 부적합한 것으로 인식됐다.
그러나 친환경기술이 빠르게 정착되면서 반전이 됐다. 최근 탈황기술(연소시 황 제거기술)의 발달로 Pet-coke을 이용한 발전은 경제성과 환경성을 겸비한 새로운 연료로 인식이 전환되고 있다.
한전-현대중공업-오일뱅크 3사는 각 사의 장점을 활용해 해외 Pet-coke 발전시장에 공동으로 참여함으로써 발전사업 개발능력, 기자재 생산 및 발전소 운영능력의 분야에서 시너지효과가 기대된다.
한전은 2016년과 2017년에 포보스가 선정하는 전 세계 Utility사 순위에서 1, 2위를 차지할 만큼 전력분야의 글로벌기업으로 인정받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독자적인 기술력을 통해 Pet-coke 발전을 위한 CFBC(순환유동층) 보일러의 자체 제작이 가능하다. 현대오일뱅크는 국내 유일한 Pet-coke 발전소 운전경험을 보유했다.
이 날 MOU에서 유향열 한전 부사장은 "높은 경쟁으로 인해 Red-ocean화한 세계 발전시장에서 저렴하고 풍부한 연료를 바탕으로 하는 Pet-coke 발전은 새로운 Blue-ocean으로서 개발가능성이 풍부하다."고 강조했다.
국가기간산업인 전력, 중공업 및 정유 업계의 대표적인 회사로서 각 사의 장점을 융합하는 Pet-coke 컨소시엄 구성을 통해 전력산업 변화에 대한 대응방안과 신규사업영역에 대한 전략적 협업모델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전 노태동 부장은 "Pet-coke 발전을 한번도 해보지 않는 사업이라, 구체적으로 셈(수익 등)이 나올지는 모르지만 한전도 이 사업을 통해 처음 화력발전사업에 적용하는데 블루오션은 맞다."고 "사업이 본격화되면 몇십만 메가될 지는 추후 공동개발을 통해 지켜볼 일이다."고 말했다.
이번 3사의 협업은 현대중공업이 기기 제작 노하우와 한전의 발전소 개발, 현대오일의 IPP(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능력있어 앞으로 개발하면 3사 시너지효과는 넌바인딩(Non-binding) 차원, 추후 개발해야 성과가 나올 수 있다.
노 부장은 3사 협업 결과와 관련 "빠르면 올 연말이나 내년초로 보고 오일뱅크나 현대중공업이 해외 컨택을 해온 곳은 멕시코, 태국, 사우디, 오만 물망중"이라며 " 펫코 부산물이 결국 연료로 쓰이는데, 재활용사업이기 때문에 여기서 대신 나오는 오염물질도 환경설비로 처리하는데 크게 문제가 없다."고 거듭 밝혔다.
용어설명
PET-Coke
석유의 찌꺼기를 열분해시켜서 만든 다공질의 광택이 있는 코크스이다. 비중 약 0.9∼1.1. 실제로는 상압증류(常壓蒸溜)하고 난 찌꺼기를 원료로 사용하며, 이것을 480∼520 ℃에서 공기를 차단하고 열분해하면 가스와 경질유를 발생시키는 동시에 중질유는 축합되므로 마지막에 탄화(炭化)해 코크스가 된다. 황분이 적은 원료유를 선택하는 데 따라 순도가 높은 공업용 탄소재료가 되고, 전극·금속탄화물의 원료가 된다. 야금용 및 연료용 등에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