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중소기업의 참여로 동반성장 및 해외 수출사업 기여
신재생출력 안정화용 ESS 구축 등 에너지신산업 생태계 조성
[환경데일리 윤경환 기자]KEPCO 한국전력공사는 7일 전북 김제시에 소재한 한전 김제변전소에서 김시호 한전 국내부사장을 비롯한 공공기관, 학계, 연구계, 산업계 등 150여명의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주파수조정용 에너지저장장치(ESS) 구축 기념식을 개최했다.
주파수조정용 ESS는 기존 발전기가 담당하는 주파수조정을 대체함으로써 전기품질을 높이고 발전비용을 낮출 수 있다. 2014년 52㎿ 시범사업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고 상업운전을 시작한 이후 한전은 김제변전소 등 13개 장소에 주파수조정용으로 세계 최대 규모인 376㎿를 구축 운영 중이다.
미국 에너지부(DOE) 사이트는 글로벌 ESS 데이터베이스를 근거로 운영중이다.
주파수조정용 376㎿ ESS 상업운전이 시행되면 전기품질 확보와 전력계통 운영효율 향상이 기대되며, 매년 약 620억원의 전력구입비 절감을 예상하고 있다.
또한 기업들은 지난 4년간 주파수조정용 ESS사업에 참여 하면서 배터리 충방전 속도를 최대 1.6배까지 향상시키는 등 기술적 성장을 이뤘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재 미국, 유럽, 아시아 등에 약 1조 2000억원의 해외 수출을 달성했다.
김시호 한전 부사장은 기념사에서 "전력산업은 4차산업혁명과 미래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이라는 대격변을 목전에 두고 있으며, ESS 기술은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서 에너지신산업을 선도하는 핵심"이라고 밝혔다.
한전은 향후 신재생출력 안정화용 및 피크절감용 ESS분야로 활용범위를 넓혀 ESS 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며, 국내 사업 경험을 기반으로 주파수조정용 ESS의 해외 기술 수출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용어설명
주파수조정 ESS : 품질 높은 전력의 안정적 공급을 위하여 전력수요 변동에 대해 발전기들이 발전량을 조절 표준주파수인 60Hz로 일정하게 균형을 유지해오고 있다. 전력과 ICT가 융복합된 ESS가 기존 발전기 역할 일부를 대체.
신재생출력 안정화용 ESS :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의 불안정한 출력을 안정적으로 출력.
피크저감용 ESS : 경부하시(심야) 충전하고 최대부하시(주간) 방전하여 에너지비용을 절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