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산업육성 은행으로부터 정책자금 받으세요

김영민 기자 / 2017-12-01 14:59:23
환경산업기술원, 환경정책자금 금융기관 간담회 개최
2018년 환경정책자금 융자방향 및 제도개선안 공유
환경산업 육성 등 정부정책 달성, 금융기관과의 협업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우리 환경기업들이 가장 큰 애로점은 환경산업 육성에 기여하는 녹색기술은 구축했지만 국내외 보급을 위해서는 반드시 환경정책자금 등을 금융기관으로부터 지원받아야 한다.


KEITI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환경산업 육성 및 환경정책자금 융자사업의 원활한 정착을 위해 금융기관 간담회를 12월 1일 서울 용산구 상상캔버스에서 개최했다.

환경산업 육성 및 국가 환경개선을 위해 기업에 장기 저리로 자금을 대출지원하는 사업은 모두 4종으로 환경산업육성자금, 환경개선자금, 재활용산업육성자금, 천연가스공급시설자금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9개 금융기관 부산은행, 수협, 우리, 국민, 기업, 신한, 농협, 하나은행이 참석 2018년도 환경정책자금 융자사업 방향과 제도개선 내용을 공유하고, 융자지원 사업의 성과와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의견을 나눴다.

▲환경산업연구단지가 인천 서구 경서동에 오픈되면서 국내 유망 환경기술의 상용화 및 해외진출 촉진을 위한 '환경기술혁신 연구단지' 구축 환경기업에게 기술개발에서 사업화까지의 One-stop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간담회는 올 9월과 11월 환경정책자금 권역별 설명회를 통해 파악된 현장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융자지원 기업에게 보다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제도운영 방향에 대한 토론로 이뤄졌다.


뿐만 아니라 KEITI는 금융계과 함께 일자리 창출 및 융자금 조기집행, 중소환경기업 육성과 같은 주요 정부정책을 달성하기 위한 협력 방안과 개선점을 살폈다.

 
환경부와 KEITI는 최근 3년간 매년 2000억 원 이상의 정책자금을 지원해왔고, 앞으로 환경정책자금 융자지원 사업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수요기업 등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이자리에서 남광희 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은 "국민의 목소리에 더욱 귀 기울여 수요자에게 최적화된 사업으로 발전시키고, 환경산업 육성과 환경개선을 위해 환경정책자금을 취급하는 금융기관과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환경정책자금 토대는 환경산업육성자금, 한국환경산업기술원법, 환경정책기본법, 화학물질관리법,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환경정책기본법, 대기환경보전법이 뒷받침을 하고 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영민 기자

김영민 기자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