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 장기화, 정유업계 진퇴양난

김영민 기자 / 2022-12-08 15:31:48
8일 SK에너지, GS칼텍스, 에스오일 정유사 본사
'상생경영 실천, 운송료 현실화' 입장 구호 외쳐
유가폭증, 바닥 운송료, 인건비 악조건 방치 호소
8일 국회 '안전운임제 일몰 3년 연장'하기로 결정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운송노동자는 죽어간다."

시멘트와 정유, 운송업계까지 화물연대 노조원들이 파업이 장기화되고 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 소속 노조원 40여 명이 서울역 연세빌딩 현대오일뱅크 앞에서 정부의 업무개시명령 등 강경 대응과 달리 연일 집회가 멈추지 않고 있다.


8일 오후 현장은 SK에너지, GS칼텍스, 에스오일 정유사 본사 앞에서 동시에 노동자연대 청년학생그룹을 비롯해 화물연대 운수노조 각 지역본부 입장 구호가 적혀 있는 현수막을 내 걸고 '상생경영(ESG 경영)실천, 운송료 현실화' 입장을 밝힌 구호 등을 외쳤다.

노조원들은 유가폭증, 바닥 운송료로 인건비도 건질 수 없을 만큼 고단한 노동자의 악조건에서 버티고 있다고 호소했다.

한 노조원은 "말로만 ESG경영, 지속가능한 상생경영이라고 하면서 정작 최일선에서 운전대를 잡은 우릴 낭떠러지로 내몰고 방치해왔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조합원은 "우리가 호소하는 건 비현실적인 대우를 조금이나마 바꿔야 후배들이 이어서 운전대를 잡는 직업에 긍지를 느끼지 않겠는가."라면서 "말과 실천이 다른 대기업 정유업계는 화물운송 종사자에게 신뢰를 저버린 상황에서 정부가 개입은 지나쳤다."고 주장했다.

화물연대본부 관계자는 "수 십여 차례 호소해온 '화물자동차 안전운임제'는 교통안전 확보하기 위해 최소한의 운임을 결정해달라는 것인데 그동안 국토부와 국회에 뜻을 전달했지만 무소식이였다."며 "화물노동자의 권리와 도로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적정 운송료를 지불받도록 법을 개정해야 마땅하다."고 말했다.

정유 업계 관계자는 "현재 우리 회사에서 특별하게 대응이나 입장을 내놓을 만큼 상황은 아니며 정유업계 전체의 문제"라고 조심스럽게 언급했다.

8일 국회는 화물운전자들이 주장해온 '안전운임제 일몰 3년 연장'하기로 했다.

국회 국토위 소속 민주당 의원들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을 통해 "안전운임제 지속과 경제적 피해 최소화를 위해 정부여당의 3년 연장을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안전운임제는 화물차주에게 적정 수준의 임금 보장 제도다. 2018년 화물자동차운수사업법 개정에 따라 20년부터 '수출입 컨테이너 및 시멘트' 2개 품목에 '3년 시한'의 일몰제로 도입됐다. 일몰제 시한은 12월31일이다.

민노총 공공운수노조 집행부는 정유업계 등은 운송료가 낮을수록 화물노동자는 위험 운행한 질주, 브레이크가 망가진 기름탱크를 몰고 내달리고 있는 셈"이라면서 "유류비, 지입차 경우 차량할부금 등 화물 운송에 꼭 들어가는 비용 지출과 생활비를 빼면 도시락을 먹고 사는 것과 다른게 없다."고 노조원들이 각 정유사 앞에서 피켓을 들고 농성한 점을 국민들은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노총 화물연대본부는 홈페이지에 공지한 내용을 보면, 지난 10년 간 물가인상률보다 오히려 하락한 화물 운송료 때문에, 화물노동자들은 하루 13시간이 넘는 과로와 위험한 과적, 과속을 강요받아 왔다고 밝혔다.

정부는 정유·철강업계의 피해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업무개시명령을 내렸다. 7일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화물 수송 정상화를 앞당기기 위해 업무개시명령이 필요하다."며 일부 복귀한 운송비노조원들에게 격려하는 모습도 내비췄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영민 기자

김영민 기자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