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라늄 정수 장치 유명무실 "꺼져있는 전원"
소규모 수도시설, 자연방사성물질 관리 허술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상수도 보급이 안되는 지역 경우 지하수에서 라돈, 우라늄 검출되는 것으로, 환경부는 지금까지 500곳 검사하고 있다. 지금까지 4348개 조사중 미국 먹는 물 기준치를 넘는 770개에서 라돈과 우라늄이 검출됐다.
![]() |
환경부 장관은 "저감장치 설치 등을 하고 있다."고 했지만, 미저감장치 5곳인 것 아예 작동이 안되고, 전원조차 꺼져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겨울철에는 동파에 파손된 채 방치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반대로 마을주민들은 환경부가 잘해줘서 깨끗한 물 맑은 물을 마시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지적했다.
경기도 안성시 연제도 마을은 기준치 7배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병원 의원(민주당, 서울 은평구을·국회 환노위/예결위)이 국내 지역 중 자연방사성물질 기준을 초과한 지역의 관리 현황을 조사했다. 조사는 특히 상수도가 보급되지 못하는 농촌지역 내, 지하수를 사용하는 소규모 급수시설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환경부에서도 2007년부터 현재까지 조사를 진행하고 있음에도, 석연치 않은 부분이 존재했던 것이다.
우라늄 기준 수치를 초과한 관정은, 원수탱크 전단에 역삼투압 방식의 처리기를 설치하도록 돼있다. 하지만 처리기의 유지관리가 어렵다는 점, 그리고 운수의 손실이 크다는 점 때문에 설치 후 1~2년 뒤에 대부분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심지어는 전원이 꺼져 있는 사례도 있었다.
라돈 기준 수치를 초과한 관정의 경우, 폭기 등의 제거장치를 설치한다. 하지만 낙뢰로 인한 위험·과도한 전기료 등을 이유로 전원이 끊겨 라돈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은 물이 공급되고 있는 상황이 대부분이다.
환경부에 조치를 완료했다고 보고한 시설 중 저감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우라늄 및 라돈이 고농도로 함유된 물에 주민들이 무방비로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우라늄·라돈 등 중금속이 지하수에서 검출된다는 사실을 당국이 인지하고 있음에도 대안 정책의 미비함으로 국민들이 여전히 중금속이 섞인 물을 일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 이는 상수도가 설치 돼 수돗물이 공급되는 지역에선 없다시피 한 일로, 상수도 미보급 급수 취약 지역의 '물 복지'가 도외시 되고 있는 상황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한편, 분석 시스템 자체의 대책 마련도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존 시스템은 한해 2~300개 정도 관정을 분석할 수 있다. 현재까지 전체 관정 1만2997개 중 4348개만을 조사한 현실을 보면, 총 조사가 끝나려면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국민들은 장기간 방사성물질에 노출될 위험에 놓이는 것이다.
환경부 관계자에 의하면, "장기간 과도하게 노출될 경우 우라늄은 방사성 독성보다 화학적 독성에 의해 신장에 심각한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라돈 역시 폐암 또는 위암을 유발 한다."고 한다.
강 의원은 "대다수의 주민 분들은 저감 장치를 신뢰해 지하수를 마시고 있다.음용하고 계셨다. 상황이 이럼에도 조치 하지 않는 이유, 왜 책임자들이 국민들이 음용하고 있는 실태를 보고도 가만히 있는 것인지 이해가 가질 않는다."고 꼬집었다.
또한 "제가 볼 땐 대안이 없는 게 아니라 고민이 없는 것이다. 조속하게 관리 기준을 설정하고, 모든 조사 대상이 되는 관정을 엄밀히 검사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