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 서비스, 기반기술 등 8대 핵심분야 전략 제시
[환경데일리 최인배 기자]#사례1, 노후관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은 사람들이 투입하는데 어려운 조건들이 많다. 그러나 loT 사물인터넷과 맞물려 지하매설지역에서 로봇으로 작업하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사례2. 유해화학물질 점검 차원에서 기존 작업자들이 일일이 현장을 확인하는 매우 위험한 공정은 로봇이 대신 투입해 작업 할 경우, 구미 불산사고 등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
이와 관련, 산업통상자원부는 9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대한민국 로봇산업 기술로드맵'에 대한 공청회를 개최했다.
'대한민국 로봇산업 기술로드맵'은 지난해 11월 15일 범부처 로봇산업 정책협의회가 의결한 '로봇산업 발전방안'의 후속조치 중 하나로 주관 부처인 산업부와 6대 로봇 연구기관, 대학, 수요기업 등 각계 전문가 80여 명이 6개월 동안 분야별 분과위원회 운영을 통해 로드맵 초안을 마련했다.
로봇산업 정책협의회 구성은 과학기술연구원(KIST)을 비롯해 기계연구원(KIMM), 로봇융합연구원(KIRO), 생산기술연구원(KITECH), 전자부품연구원(KETI), 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참여하고 있다.
8개 분과는 제조, 물류·농업, 의료·재활, 안전, 개인서비스, 부품, SW·지능, 표준화 등이다.
이자리에는 로봇 관련 산·학·연·관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한 로드맵 공청회를 열고 초안 검토와 향후 개선 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주고 받았다.
제품기술 중 국내 로봇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61%)을 차지하는 '제조로봇'분야에서 협동로봇· 조립공정용 로봇 중심으로 개발 목표 및 기술 확보 방안을 도출했다. 협동로봇 관련 로봇 단품 자체로 안전 구현이 가능한 로봇 안전 기술, 인간 작업자의 조립능력과 유사한 수준의 조립공정용 로봇 기술이다.
특히 기반기술인 로봇 '부품'은 센서, 구동기, 제어기로 분류하고, 국내 부품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로봇제품과 연계한 부품 기술개발 방향을 제시했다. 협동로봇 작업에 활용 가능한 이형 작업물 조립, 이송용 그리퍼 기술도 포함됐다.
앞으로 기술개발을 통해 연평균 7% 이상으로 성장하는 세계 로봇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이 로드맵은 로봇 연구기관 및 학계, 산업계의 다양한 전문가가 참여해 광범위한 공감대 형성을 유도하고 국내 기업·연구기관의 현황과 강점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앞으로 집중해야 할 목표 및 전략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