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생활폐기물 촬영만 하면 자동 인식 요금 알려줘 완료
수거업체 배출한 대형생활폐기물 위치정보 자동 수신 업무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사례, 서울시 은평구에 거주하는 가정주부 김 씨는 오래된 옷장을 버리기 위해 자택에서 약 20분 거리에 위치한 주민센터에 방문했다. 가구 종류, 크기, 배출예정일, 장소 등이 포함된 신청서를 작성하고 9000원을 납부한 후 신고필증을 발급 받았다. 다시 집으로 돌아와 옷장에 신고필증을 부착하고 집 근처에 있는 지정 배출장소까지 옷장을 옮겼다. 김 씨는 낡은 옷장 하나를 버리기 위해 쓴 시간과 노력을 개선 할 수 있는 방법이 무얼까 생각했다.
#사례, 은평구 생활폐기물 수거업체 직원 박 씨는 평소 정해진 수거 방식에 따라 수거 작업을 진행했다. 주민들이 배출한 폐기물 위치정보를 미리 알 수 있다면 조금 더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행정안전부는 가정용 대형생활폐기물 배출 시 발생하는 주민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한 행정서비스 개선에 착수한다.
![]() |
▲지능형 대형생활폐기물 처리 서비스 개념도 |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와 서울시 은평구(구청장 김우영)는 31일 '2017년 첨단 정보기술 활용 공공서비스 지원사업'을 통해 '인공지능 객체인식 기반 대형생활폐기물 처리시스템 구축'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앞으로는 대형생활폐기물 배출에 관한 신청· 분류· 과금의 단계를 스마트폰 사진촬영 한번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기존의 가정용 대형생활폐기물 처리는 1995년 재활용품 분리수거 제도를 실시한 이래로 현재까지 큰 변화 없이 직접 주민센터 혹은 지정판매처를 방문 스티커를 발급 받는 방식으로 수행됐다.
이 사업을 통해, 가구·소파 등의 대형생활폐기물을 버리고 싶은 주민들이 스마트폰으로 대형생활폐기물을 촬영만 하면 인공지능이 폐기물의 종류를 자동 인식 요금을 알려주게 되고, 요금은 핀테크를 통해 몇 번의 클릭만으로 결제할 수 있어 간단하게 대형생활폐기물 폐기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수거업체는 주민이 배출한 대형생활폐기물 위치정보를 자동으로 수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으로 수거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행안부는 올해 서울시 은평구 대상 시범 사업을 통해, 서비스 모델 검증·보완 후 전 지자체로 확산할 계획이며, 아울러 인공지능 기계학습에 활용된 사진 데이터를 민간에 무료로 개방해 시각 인공지능 기술 발전 및 시장 창출에 기여할 예정이다.
장영환 행정안전부 개인정보보호정책관은 "앞으로도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지능정보기술을 적용한 주민밀착형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찾아서 공공부문 선도를 통한 4차 산업혁명 발전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