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서형수 의원, 화학물질안전원 근무자 갑질?

정유선 / 2017-10-25 11:46:37
종합상황실 야간근무는 전원 비정규직 운영
서형수의원 "상황실 화학사고 방재 최전선"
국민 안전 위해 인력 충원 등 제도개선 필요

[환경데일리 정유선 기자]화학물질안전원 비상상황실에서 정규직, 비정규직 근무의 형평성을 어긋난 것으로 나타났다.

서형수 더불어민주당 의원(경남 양산을, 환경노동위원회)이 화학물질안전원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4시간 운영되는 화학사고·테러 비상상황실의 운영을 비정규직 중심으로 운영한 것으로 드러났다.
 

서형수 의원이 화학물질안전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살펴본 결과, 안전원은 사고대응을 위해 24시간 상황실을 운영하고 있지만, 정작 정규직은 9-6시 주간근무만 담당할 뿐, 24시간 운영은 2인 1조 3교대 비정규직 중심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근무 형태로 인해 상황실 내 비정규직 근로자는 상황실 정규직의 평균 근로시간인 연간 2408시간과 비교해 472시간이나 많은 2880시간을 근무하고 있고, 연구원 전체 정규직 근무시간인 2369시간과 비교해도 500시간이 넘게 차이나는 상황이다.

결국 비정규직 중심의 가중한 상황실 운영으로 인해, 최근 3년간 상황실 근무자의 이직률이 57%에 달하고 있어 전문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재난·재해·사고 관련 유사기관의 상황실(안행부, 산자부)이 모두 정규직으로 구성·운영 중인 것과 비교하면 매우 무책임한 모습이다.

서형수 의원은 "지난 7월 발표한 '공공부문 비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에 따라 국민의 생명·안전과 밀접한 직무에 대해서는 정규직 고용이 이뤄져야 한다."며 "안전원은 '화학사고를 예방, 대응하는 환경부 소속 전문기관'인 만큼 정규직 인력을 통한 체계적이고 원활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정유선

정유선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