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화탄소 포집·전환·저장 분야 원천기술 개발 협력
미래부, 한국이산화탄소포집및처리연구개발센터 지원
[환경데일리 최인배 기자]한국이산화탄소포집및처리연구개발센터가 27일 한국서부발전과 Korea CCS 2020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재)한국이산화탄소포집및처리연구개발센터(KCRC, 센터장 박상도)가 27일 한국서부발전본사에서 서부발전(사장 정하황)과 Korea CCS 2020 사업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 협약은 세계 최고의 CCUS(Utilization & Storage, 이산화탄소 포집·전환·저장기술) 기술개발 목표 달성 및 기술 상용화를 위한 공동으로 추진한다.
이를 통해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CO₂를 포집 전환 기술 확보해, 중장기적으로 국가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행한다는 청사진이다.
KCRC는 미래창조과학부의 지원으로 국가 CCS 종합추진계획(2010.7)에 따라 Korea CCS 2020 사업을 전담하고 있다.
또 세계 최고 수준의 혁신적 포집·저장·전환 기술 개발을 위해 다양한 R&D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서부발전은 2014년부터 발전회사 중 유일하게 Korea CCS 2020 사업의 화학적 전환기술 R&D 프로그램에 참여중이다.
KCRC와 공동으로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 Storage, 이산화탄소 포집·전환·저장기술) 기술개발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상호 기술교류를 추진했다.
![]() |
▲자원순환형 발전소 개념도, 전력산업의 특성상 불가피하게 대량의 자원을 사용함과 동시에 환경물질이 발생된다.이에 서부발전은 폐자원의 재활용과 사전예방 차원의 오염물질관리를 포함 하는 자원순환형 발전소 운영을 통해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한다는 개념이다. |
KCRC와 서부발전은 이번 협약을 통해 국가 CCS 미션(혁신 원천기술 확보)을 성공적으로 추진하여 세계 1등의 CCS 기술을 확보해 나갈 예정이다.
이날 협약식을 주관한 서부발전 김동섭 기술본부장은 "서부발전은 CCS에 대규모 투자비가 소요됨에 따라 정부 주도의 중대형 실증 프로젝트에 전력 그룹사와 공동으로 참여할 계획"이라며 "CCU(이산화탄소 전환·활용기술)는 중소 규모의 서부발전 특화 기술 개발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번 협약을 통해 서부발전과 KCRC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다각도로 협력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KCRC 김선옥 본부장은 "양 기관이 CCS 포집·전환 기술 개발 및 확산에 뜻을 모아 협력함으로써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해 CCS 분야의 시장 진입 확대 및 세계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강한 드라이브를 얻게 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