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술 발전과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발굴
국내 최대 모빌리티산업의 중심인 국제e-모빌리티엑스포가 더욱 탄탄하게 추진되고 있다.
국제e-모빌리티엑스포 조직위원회와 제주드론산업협회가 엑스포를 통한 드론산업의 진흥과 확산으로 미래 혁신과 지역 발전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7일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제주드론산업협회와 지속가능한 드론분야 산업생태계 조성과 정보교환 및 엑스포 성공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김대환 국제e-모빌리티엑스포 공동조직위원장, 안광희 제주드론산업협회장, 양병우 제주도의회 부의장, 이병선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대표, 임창훈 국제e-모빌리티엑스포 사무총장을 두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력은 두 기관이 보유한 자원과 전문 기술역량을 한데 모아 드론분야 신기술 발전과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발굴, 드론과 AI기술 융합으로 미래전략산업을 이끌어 나가기 위해 마련했다.

(앞줄 왼쪽부터) 주제주중국총영사관 이덕영 부영사, 고태언 제주도자원봉사협의회장, 이병선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대표, 제주도의회 양병우 부의장, 김대환 국제e-모빌리티엑스포 공동조직위원장, 안광희 제주드론산업협회장, 오경수 (전)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사장, 제주도 혁신산업국 우주모빌리티과 김홍찬 주무관, 임창훈 국제e-모빌리티엑스포 사무총장, 주제주중국총영사관 반정 사무관, 강경환 제주드론산업협회 사무국장, 이진영 그린코딩(주) 대표, 제주 한림공업고 이광수 선생, 공주삼 제주드론산업협회 부회장
이번 협약에 따라 e-모빌리티 등 관련 산업의 공동 발전 및 기술교류, 드론 전시, 포럼 및 경진대회 등 상호협력 확대, 미래 인재 육성 교육, 문화콘텐츠 공동 개발 등을 추진한다.
안광희 제주드론산업협회장은 "자연과 사람중심의 드론산업 육성을 비전으로 드론을 활용한 관광, 농업, 안전, 문화, 스포츠, 교육 등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만드는데 역할을 할 것"이라며 "올해 엑스포 성격은 한 분야 발전이 다른 분야에도 시너지를 줄 수 있게 만들어 내겠다."고 말했다.
또한 제주특별자치도 양병우 제주도의회 부의장은 "미래산업중심이 e-모빌리티, 로봇, AI, 도심항공교통(UAM), 신재생에너, 그린수소 등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고 엑스포의 위치를 설명했다.
양 부의장은 "제주드론산업협회가 드론 분야 연구, 교육, 산업지원 및 국내외 협력으로 e-모빌리티의 빠른 기술적 진화와 에너지산업의 대전환의 흐름을 견인하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지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7월 9일 개막하는 제12회 국제e-모빌리티엑스포는 '탄소중립 제주 2035 실현'을 슬로건으로 전 세계 e-모빌리티 관련 150개사가 약 250개 부스를 통해 참여할 예정이다.
현장에서 B2B 비즈니스 상담회는 국내외 바이어 50개사가 100건 이상의 1:1 상담을 통해 실질적 계약 성과를 도출하게 된다.
특히 세계 e-모빌리티 산업을 진단하는 컨퍼런스는 50개 세션에 약 30개국이 참여할 예정이다.
엑스포 기간동안 빅매치도 진행된다. 벌써 제3회째인 국제친환경선박엑스포를 한층 진화된 기술력을 선보이고, 세계 모빌리티산업의 총망라해 점검하고 방향을 잡을 제10차 세계e-Mobiltiy협의회 총회도 열린다.
매년 학생들에게 인기를 모으고 있는 모빌리티 창작의 공간이 되는 제4회 국제 대학생 EV자율주행 경진대회, 제2회 국제 AI 드론 경진대회 등도 동시에 진행된다. [환경데일리 = 장수익 제주취재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