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자연보전연맹서 취약한 소안해마 국내서 증식

한영익 / 2017-10-29 11:34:5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소안해마 인공 증식에 성공
수컷 1마리당 약 25~50마리 치어 방출 성공

[환경데일리 한영익 기자]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 취약(VU) 또는 정보부족(DD)종으로 평가받아온 '소안해마'가 국내 기술에 의해 증식에 성공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에 따르면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소안도에 사는 (가칭)'소안해마'의 성체를 확보해 부화된 치어를 키우는 방식으로 최근 인공 증식에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성숙한 소안해마 2쌍을 소안도 인근 바다에서 올 5~6월에 포획, 사육용 수조에서 출산 시기와 유사한 온도를 유지하며 교미와 산란을 유도한 결과, 수컷 1마리당 약 25~50마리(월 1회)의 해마 치어를 방출하는데 성공했다.

▲인공 증식으로 태어난 어린 소안해마


인공 증식으로 태어난 어린 소안해마는 성체와 격리돼 성장 단계별로 먹이를 공급받았으며, 약 50일이 지난 8월 기준으로 생존율이 약 68%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치어 생존율이 약 30% 이상일 때 어류의 인공 증식에 성공했다고 보고 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내년부터 매월 500 마리의 소안해마를 인공 증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소안해마는 2012년 4월 소안도 일대에서 전세계에서 처음 발견된 신종 후보종으로 현재 서식지 특성 및 생태 정보를 규명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금까지 국내에 알려진 해마종은 소안해마를 제외하고 산호해마, 점해마, 가시해마, 복해마, 해마, 신도해마, 히포캄푸스 켈로기(Hippcampus kellogii, 국명없음) 등 총 7종이며,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 취약(VU) 또는 정보부족(DD)종으로 평가하고 있다.


일부일처제로 알려진 해마는 번식기가 되면 암컷과 수컷이 꼬리를 감은 상태에서 교미를 하며 암컷은 수컷의 배에 있는 보육낭(brood pouch) 속에 산란한다.


이후 수컷은 수정란을 돌보고 부화시킬뿐만 아니라 태어난 새끼가 독립할 수 있을 때까지 자신의 보육낭에서 키워 약 0.7cm 정도까지 성장한 약 30~70개체의 치어를 출산한다.


해마는 세계자연보전연맹의 적색목록(Red List) 및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에 따라 세계적으로 보호받고 있다.


이규성 다도해해상국립공원사무소장은 "인공 증식을 통해 태어난 소안해마를 서식지인 거머리말 군락지에 다시 놓아주는 사업을 통해 해양생태계 건강성을 회복시키고 소안도 일대가 멸종위기에 처한 해양생물의 안식처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용어설명

IUCN 적색목록 멸종우려 범주: 위급(CR), 위기(EN), 취약(VU)
취약(VU, Vulnerable): 야생에서 높은 절멸 위기에 직면한 종
정보부족(DD, Data Deficient): 멸종을 평가하기에 정보가 부족한 종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한영익

한영익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