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 건강영향 관리 사례연구 기술문서
박봉균 원장 "경험을 WHO 회원국 도움"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국내 화학안전을 제일로 지향하는 화학물질안전원은 화학사고로 인한 주민 건강영향조사 경험을 공유하기 위해 WHO 아‧태 환경보건센터와 공동으로 '화학사고 건강영향 관리 사례연구' 기술문서(Technical document)를 발간한다.
이번 기술문서는 '국제 화학물질 관리 전략적 접근(Strategic Approach to International Chemicals Management)' 사업의 일환이다.
이번 발간에 들어갈 내용은 국내 화학사고 건강영향조사 기법을 국제사회와 공유하고 국제협력을 통한 선제적인 화학사고 예방과 대응을 위해 제작됐다.
2014년부터 10년간 이뤄진 국내 건강영향조사 절차와 특징을 소개했다. 2012년 9월 27일 구미 4공단에서 발생한 불산가스 누출사고 이후 ▲화학사고 조사 법적 체계 마련 ▲지역 거점 의료기관 협력 상시대비 체계 구축 ▲피해자 정신건강 관리 및 건강피해 판정 ▲만성건강 확인을 위한 추적조사 지원 등의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아울러 화학물질안전원은 7월 14일 WHO 아‧태환경보건센터와 화학사고 공중보건관리를 위한 국제회의를 열어 국내사례를 서태평양 지역 국가들과 공유했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화학사고 건강영향조사 기법을 고도화하고 관련 경험을 전파하는 데 앞장설 계획이다.이번 기술문서는 12월 11일부터 화학물질안전원 누리집(nics.me.go.kr)과 세계보건기구 누리집(iris.who.int)에서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박봉균 화학물질안전원장은 "이번 기술문서는 최근 10년간의 화학사고에서 얻은 주민 건강관리 경험을 담았다."며 "우리나라의 앞선 경험을 바탕으로 화학사고 대응에 어려움을 겪는 아시아 국가와 세계보건기구 회원국에게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2019년 환경부, 서울시, WHO(세계보건기구)가 양해각서를 체결, 서울에서 WHO 아‧태 환경보건센터(WHO ACE)를 설치‧운영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