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노출, 담배광고 무방비로 노출

추호용 기자 / 2020-11-25 19:12:48
제24차 소비자권익포럼, 25일 2시간 생중계
SNS플랫폼 흡연노출 및 담배광고 규제방안 모색
소비자권익포럼, 고영인 의원, 흡연제로네트워크
지난해 영상서 흡연 권유하는 경우 71.3% 육박
현재 유튜브 등 1인미디어 광고성 담배노출 심각

[환경데일리 추호용 기자]정부의 금연정책이 구멍이 난 상태다. 이미 SNS, 유튜브를 통해 불특성 다수에게 흡연내용이나 우회적으로 담배광고를 선전 홍보하는 경우가 갈수록 많아지고 있어서다.

이런 심각성에 대해(사)소비자권익포럼 (이사장 이은영)은 고영인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안산 단원(갑)과 흡연제로네트워크와 공동주관으로 25일 오전10시부터 유튜브 생중계로 SNS플랫폼에서의 흡연노출 및 담배광고에 대한 집중적인 대안 찾기의 토론이 있었다.

2018년, 2019년 2년간 1인미디어에서의 담배관련 영상을 모니터한 결과 대부분의 영상은 모든 연령이 접근가능한 상태였으며 담배브랜드가 노출되거나 담배갑이 노출되어 직, 간접적으로 담배광고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가 92.2%(2018년 담배관련채널 11개 1172개영상 모니터링 결과)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중 86.0%에서는 직접 연기를 뿜으며 흡연을 하는 모습이 그대로 노출되는 영상이었다. 영상에서 흡연을 권유하는 경우 71.3%(2019년 담배관련 검색, 1만회 이상 조회 영상 550개)에 이르렀다.

이벤트 내용을 소개하는 86개 영상 중에 15개인 17.5%에서만 협찬임을 밝히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올 6월, 영리 목적으로 담배 사용 경험이나 제품을 비교하는 글을 온라인에 올리는 경우 3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하는 한편
담배와 담배 유사 제품, 전자담배 기기 장치 등의 판촉 행위를 금지하는 내용의 '국민건강증진법'개정안을 국무회의에서 의결한 바 있다.

고영인 국회의원은 이번 포럼을 계기로 담배 광고의 포괄적 금지 및 경고를 강화해야 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입법과 정책 개정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에서 조윤미 소비자권익포럼 공동대표는 SNS플랫폼에서의 담배노출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발제를 맡아 현재 유튜브 등 1인미디어에서의 광고성 담배노출 문제를 짚었다.

두 번째 발제를 맡은 이성규 센터장 (한국담배규제연구교육센터/연세대보건대학원 겸임교수)은 SNS플랫폼에서 흡연노출 규제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이어지는 지정토론에는 조형오 교수(동국대 광고홍보학과), 유형일 권익위원장(한국디지털콘텐츠크리에이터협회), 손봉현 팀장(한국인터넷광고재단), 이태휘 과장(공정위 소비자안전정보과), 안동근 교수(한양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이윤신 과장(보건복지부 건강증진과)등이 참석해 보다 효과적인 SNS플랫폼에서의 흡연노출과 담배광고 규제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포럼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위해 청중없이 온라인 생중계로 진행되며, 유튜브 채널 '컨슈머맵'에서 볼 수 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추호용 기자

추호용 기자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