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 의원 “막대한 국부 유출 책임 물어야"
광산 가치 뻥튀기 하는 등 문제 밝혀지는 등
[환경데일리 최인배 기자]한국전력공사가 무리한 자원외교로 막대한 손실을 입은 것으로 밝혀졌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박정 의원(더불어민주당, 파주시을)이 한전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한전은 2007년부터 현재까지 해외자원개발에 1조 4233억 원을 투자해 투자대비 3% 수준인 479억 원의 수익을 얻는데 그쳤다.
한전은 MB정부시절 정부의 해외자원개발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해외 유연탄과 우라늄 광산에 대해 공격적으로 투자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투자 과정에서 광산 가치를 뻥튀기 하는 등의 문제가 밝혀지는 등 부실하게 사업을 추진했다는 지적이 계속됐다.
2016년 12월 정부가 발표한 에너지 공기업·공공기관 기능 조정 계획에 따라 한전은 해외자원개발 사업을 모두 접었다. 이후 현재까지 자회사인 발전5사와 한수원에 관련 지분을 대부분 매각했고, 남아있는 호주 바이롱 광산 지분은 향후 순차적으로 매각할 예정이다.
2016년 12월 한전은 호주와 인니에 위치한 5개 유연탄 광산에 대한 지분을 발전5사에게 약 4900억원에 매각했다. 결과적으로 총 1조 1610억원을 투자해 448억원의 수익을 남겼다.
캐나다와 니제르에 위치한 5개의 우라늄 광산 사업은 2623억원이 투자됐지만 수익은 31억원에 그쳤고, 한수원에게 1237억 원에 매각됐다.
투자액에서 배당수익과 매각액을 제외하면 한전은 약 7500억원의 손실을 입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51억원을 투자한 캐나다의 크리이스트 사업의 경우 수익이 전혀 없어 현지 업체에 무상으로 지분을 넘겼고, 최근 한전은 캐나다 현지 법인까지 철수했다.
특히 박정 의원은 이로 인해 대기업이 정부의 정책에 따라가다보니 별도로 입은 피해액은 그 이상으로 막대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