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롯데홀딩스 쓰쿠다 사장, 한국롯데, 갑질피해팀 발족
13일(화) 일본대사관 앞 대형버스 동원 규탄시위 열어
[환경데일리 윤경환 기자]롯데그룹에 또 하나의 시위에 휘말리게 됐다.
롯데피해자연합회는 13일 오전11시30분 서울 종로구의 주대한민국일본국대사관 앞에서 일본 롯데홀딩스 쓰쿠다 다카유키(佃孝之) 사장의 직속 산하 조직으로 한국롯데, '갑질피해특별조사팀'을 발족했다.
이들이 주장해온 롯데 갑질이 사라지지 않는 이유는 직원에서부터 고위층까지 갑질이 고착화 때문이다.
정의당 공정경제민생본부의 위원장을 맡고 있는 추혜선 의원은 "롯데그룹은 거의 모든 사업영역에서 불공정거래행위가 다반사로 이뤄지고 있고, 심지어 사기에 가까운 갑질 사례들까지 확인되고 있다."며 "대기업의 갑질 유형이 총망라된 갑질 종합 백화점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추 의원은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눈을 가리고 귀를 막는 허위보고! 갑질행위! 지금까지 우리는 '협력업체와 동반성장을 하겠다'는 롯데의 진정성을 믿고, 롯데에 호소해왔다. 그러나 롯데는 사실 관계를 파악해달라는 피해자의 요청에 답변은 커녕 소송으로 피해업체를 겁박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일본 정부에서 실태를 조사 촉구하는 기자회견 및 규탄시위를 펼친다.
이날 시위 참여 기업은 가나안RPC(롯데상사 피해업체), 성선청과(롯데슈퍼 피해업체), 신화(롯데마트 피해업체)아리아(러시아 롯데백화점 입점 피해업체), 아하엠텍(롯데건설 피해업체), 에이케이인터내셔날(롯데몰 수원점 입점 피해업체) 외 정의당 공정경제민생본부와 기타 피해기업이다.
이날 기자회견문 낭독, 기자회견을 실시한 뒤, 발표한 기자회견문을 일본 대사관을 통해 쓰쿠다 사장에게 전달을 요청할 방침이다.
또한 대한민국 중소,소상인을 상대로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는 한국롯데 갑질은 개인의 일탈행위가 아닌 조직적 일탈행위임을 알린다.
롯데의 갑질로 인한 이들 업체의 피해금액은 대략 490억, 실직된 종업원도 500여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대다수 업체가 현재 파산한 상태이다.
안동권 롯데피해자연합회 사무국장은 "한국롯데가 일본롯데 보다 20배 정도 급속성장한 데는 상당수 한국 납품업체의 희생과 무관하지 않다."며 그 근거로 "한국롯데는 공정거래위원회의 하도급 갑질 신고건수는 1위 내지 매년 상위권을 차지하는 불명예를 안고 있으며 한국 대기업 중에서 유일하게 갑질피해자가 연합회를 구성 공동대응하고 있으며, 정의당 공정경제민생본부(추혜선 의원)에 '롯데갑질신고센터'설치 후 계속해서 피해사례가 접수되고 있다."고 말했다.
안 사무국장은 "쓰쿠다 사장은 일본기업의 공통된 경영철학인 도덕성과 신뢰를 한국에서도 지켜주기를 바란다며 약자를 핍박하는 한국롯데의 갑질경영을 청산하기 위해 한국롯데, 갑질피해특별조사팀을 즉각적으로 발족해 줄 것"을 요구했다.
김영미 회장(롯데피해자연합회)은 "한국롯데 갑질로 인해 많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이 고통을 받고 있는 반면 일본에서는 롯데의 갑질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며 "대한민국 정부와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그리고 일본 롯데홀딩스 쓰쿠다 사장이 사회적 책임을 가지고 해결해 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롯데그룹은 신격호 명예회장(일본명 시게미쓰다케오(重光武雄))이 1948년 일본에 설립한 기업집단이다. 이후 신동빈 (일본명 시게미쓰 아키오(重光昭夫)) 회장과 쓰쿠다 사장이 일본 롯데홀딩스의 공동대표를 맡으면서 일본과 한국 계열사를 총괄했다. 그러나 신동빈 회장이 2월21일 대표직에서 사임하면서 쓰쿠다 사장의 단독 대표체제로 전환했다.
롯데피해자연합회가 일본대사관 앞에서 일본 롯데홀딩스 쓰쿠다 사장을 상대로 갑질 피해구제를 호소하는 이유와 무관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