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멸종위기종 복원센터는 한반도 동물원?

정유선 / 2017-10-25 19:37:19
기재부, 복원센터 내 밀수 외래종 함께 관리 '황당'
김삼화 의원, "기재부 행정 편의주의적 발상 질타"
유전자 보호, 감염병 전염 방지 위해 분리 관리해야

[환경데일리 정유선 기자]국립생태원 내 설치해야할 국제적 멸종위기동물보호센터(CITES Shelter) 설립이 난관에 부딪혔다. 밀수된 외래 멸종위기종을 관리하기 위한 이 시설을 경북 영양에 추진 중인 '한반도 멸종위기종 복원센터'에 같이 설치하라고 기재부가 의견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김삼화 국민의당 의원(국회환경노동위원회)이 국립생태원의 자료에 따르면, 2013년 이후 밀수입으로 적발된 45마리 외래 멸종위기동물 중 사막여우 16마리, 검은술 마모셋 원숭이 1마리, 비단 마모셋 원숭이 3마리 등 총 20마리가 현재 국립생태원으로 인계 보호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립생태원은 2015년 국정감사 이후 수차례 외래 멸종위기동물 보호시설을 갖춰 밀수된 동물을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을 받았다. 환경부는 2015년 국제적 멸종위기동물 보호체계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을 실시한 결과, "질병검사와 동물 관리가 가능한 국립생태원 등을 확대해 활용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냈다.  


그러나 기획재정부가 내년 예산 편성과정중 이 시설을 국립생태원이 있는 충남 서천이 아닌 경북 영양에 추진 중인 '한반도 멸종위기종 복원센터'에 같이 설치하라는 의견을 제시한 것이다.  

김삼화 의원은 24일 국립생태원 국정감사에서 "기재부의 의견은 밀수된 외래 멸종동물과 한반도 멸종동물을 섞어 놓겠다는 것에 다름 아니다. 한반도 멸종위기종의 유전자 보호와 외래종에 의한 감염병 전염 방지를 위해서라도 충분한 이격거리를 확보해 분리해서 관리해야 한다."고 지적하며 기재부의 지극히 행정 편의주의적 발상을 질타했다.


김삼화 의원에 따르면, 2015년에서 2017년까지 중국에서 일본으로 불법 반입된 조류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I(HPAI)가 3번이나 검출됐고, 2004년엔 벨기에에서 태국으로 밀수 중 적발된 뿔매 한쌍에서도 HPAI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2004년에도 말레이시아에서 태국으로 밀수한 닭의 사체를 먹은 닭과 메추리에서 고병원성 HPAI가 발생했다.


이어 "외래 멸종위기동물들이 보호 관리되지 못하고 폐사되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라며 "이미 (충남 서천) 국립생태원 본원에 외래종에 대한 전염병관리 진단 기술이 확보돼 있어 밀수된 외래 멸종위기종에 대해서도 충분히 관리가 가능하고, 국민들에게 전시하기도 용이하기 때문에 연구용역 결과대로 국립생태원에서 보호센터를 운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정유선

정유선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