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일부터 대형생활폐기물 수거운반업체 통해 수거 계획
[환경데일리 이수진 기자]그동안 동주민센터에 방문하거나 PC를 통해서만 가능했던 대형생활폐기물 신고가 휴대폰을 통해서도 가능해졌다.
마포구(구청장 유동균)는 스마트폰으로 대형생활폐기물 배출 신고가 가능하도록 청소행정 시스템을 개선하고 본격 운영에 나선다고 8일 밝혔다.
![]() |
구는 최근 스마트폰에서 대형생활폐기물 신고와 수수료 납부가 가능하도록 모바일 홈페이지 시스템을 개선했다. 구 홈페이지에 접속해 민원업무, 생활, 청소재활용, 대형폐기물 배출안내 항목을 차례로 선택하면 배출 신청을 스마트폰으로 할 수 있다.
동주민센터에 방문하기 어렵거나 PC가 없는 경우 대형생활폐기물 배출 신고가 쉽지 않았던 문제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 밖에도 구는 모바일 홈페이지의 청소재활용 서비스 탭을 활용해 생활쓰레기와 재활용품, 음식쓰레기, 폐형광등 및 폐건전지, 폐소형가전, 폐휴대폰 등의 배출방법과 주의사항 등을 안내하고 있다.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안내문을 출력해 집안에 부착해 놓거나 스마트폰에 캡쳐 이미지로 저장한 후 쓰레기 버리는 방법이 궁금할 때 찾아보면 유용하다.
그동안 배출방법이 통일되지 않아 혼란스러웠던 폐소화기는 9월 1일부터 폐가구, 폐가전제품과 같이 대형생활폐기물로 분류해 생활폐기물 수거운반업체를 통해 수거해 처리할 계획이다.
폐소화기 배출 수수료는 소형(3.3kg이하) 2000원, 기타(3.3kg 초과 10kg 이하) 의 경우 3000원으로 책정됐다. 수거대상 소화기는 분말소화기 중 폭발 위험이 없는 축압식 분말소화기다. 폭발위험 때문에 이미 생산이 중단된 가압식 분말소화기는 기존과 동일하게 마포소방서에서 수거한다.
쓰레기 배출방법이 궁금증은 모바일(www.mapo.go.kr)에 접속하거나 마포구 청소행정과(☎3153-9214)로 문의하면 된다.
유동균 마포구청장은 "마포구는 주민들이 실제 체감할 수 있는 편리한 청소행정 서비스를 지향하고 있다."며 "대형생활폐기물뿐만 아니라 음식물쓰레기와 일반쓰레기 분야에서도 질적 서비스 향상을 위해 개선된 정책을 계속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