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악취배출사업장 관리 강화

김영민 기자 / 2023-09-29 12:45:17
악취취약 지역 선정 등 방지법령 개정 시행
지자체와 협력 악취 피해 최소 지속적 노력
K-eco, 악취기술진단 매년 우수시설 발굴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악취배출 가능한 사업장에 대해 강도높게 관리 감독에 가능해졌다.

▲악취 저감 기술 적용 사례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악취배출사업장의 악취관리 강화를 위해 개정된 '악취방지법 시행령'이 9월 25일 국무회의에서 의결 9월 29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이날 의결된 시행령과 함께 개정된 '악취방지법 및 시행규칙'도 같은 날 시행된다.


개정된 '악취방지법령'이 시행됨에 따라 환경부 장관이 악취실태조사 결과를 고려해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할 것을 권고하게 된다.


이어서 시도지사 등은 1년 이내에 해당 지역을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해 악취배출사업장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한다.


환경부 또는 지자체가 악취배출시설이 설치된 중소기업 등에게 악취 저감에 필요한 재정・기술적 지원을 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 악취검사기관이 정도관리 미이행 등 준수사항을 지키지 않은 경우에 행정처분기준이 적용된다.

악취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해 개선명령 또는 조치명령을 받은 악취배출사업장은 15일 이내에 악취저감 조치 이행계획을 수립해 해당 명령을 내린 감독기관에게 제출해야 한다.


지자체에서 설치・운영하는 공공환경시설에 대한 악취관리도 강화된다. 공공환경시설의 악취 기술진단 대상이 확대되고 지자체장은 기술진단 결과에 따라 악취저감 계획을 수립해 관할 유역 환경청장에게 통보해야 한다.


기술진단은 환경부 장관이 인정 고시하는 시설(하수찌꺼기 처리시설, 음식물 폐수 처리시설) 추가해준다.

정선화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이번 법령 개정으로 악취가 많이 발생하는 악취배출사업장에 대한 엄격한 관리를 통해 악취저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지자체와 협력해 지역 주민들의 악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K-eco 한국환경공단은 매년 악취기술진단 사업화를 위해 가축분뇨, 폐수처리, 공공하수처리장 등을 중점으로 악취저감에 집중하고 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영민 기자

김영민 기자

뉴스댓글 >

SNS